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A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정치권 운명의 한 주가 시작됩니다. <br> <br>내년 총선 전 마지막 정기국회를 일주일 남기고, 여야는 막판 대격돌을 준비중입니다. <br> <br>먼저 여권은 개각 카드를 꺼냅니다. <br> <br>이르면 내일부터 중량감 있는 장차관급 인사를 통한 인적 쇄신을 시작으로 정국 주도권을 쥐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특히 민주당과의 대립으로 공석이 된 방송통신위원장 후임 인선을 통해 어수선해진 내각을 안정시키겠단 계산입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소식, 조아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 <br>[기자]<br>대통령실이 방송통신위원장 후임 인선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"빨리 후임자를 임명하려고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도 사퇴한 것"이라며 "이번 주 개각 발표 대상에 방송통신위원장이 포함될 수도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당장 지상파 재허가 의결과 YTN 최대 주주 변경 승인, 네이버 뉴스 알고리즘 사실 조사 등 이동관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추진해온 중요 과제들을 지연시킬 수 없다는 판단에서입니다. <br> <br>[이동관 / 전 방송통신위원장(지난 1일)] <br>"마지막으로 드리고 싶은 말씀이 하나 있습니다. 언론 정상화의 기차는 계속 달릴 것입니다." <br> <br>방송통신위원장은 보궐 임명할 경우, 전임자의 잔여 임기가 적용되는 만큼 하루빨리 새 방통위원장이 임명돼야 한다는 계산도 깔려 있습니다. <br> <br>위원장 후보의 인사청문 요청서를 국회에 전달하면 국회는 20일 이내에 청문회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, 서둘러 후보자를 정하면 연내에 방통위 업무가 정상화될 수 있다고 대통령실은 보고 있습니다.<br> <br>다만 여야가 50억 클럽, 김건희 여사 특검법인 이른바 '쌍특검'을 놓고 극한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, 청문회 개최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여권에선 정치적 논란이 적은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과 함께 이진숙 전 대전 MBC 사장 등이 새 방통위원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후임자 검증이 진행 중인 가운데, 방통위는 청문회 준비에 이미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