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소수 대란 우려…정부 "공공비축·대체 수입 확대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보내는 산업용 요소의 통관이 돌연 지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년 전과 같이 '요소수 대란 사태'가 빚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공공비축분과 수입처를 늘려 수급 안정화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보도에 문형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기로 한 '산업용 요소'의 통관이 지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세관이 수출 심사를 마친 뒤 요소 선적을 앞두고 갑자기 한국행을 보류한 겁니다.<br /><br />중국 정부는 이 같은 세관 결정에 대해서 공식 입장을 아직 발표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요소수는 화물 트럭부터 화력발전소나 제철소 등 매연 저감을 위해 쓰입니다.<br /><br /> "저희가 파악한 바로는 (산업용 요수 수입 비중이) 중국이 90.2%, 카타르가 6.8%, 사우디아라비아가 1.4%."<br /><br />우리나라의 중국 요소 의존도는 90%, 중국이 수출을 막으면 타격이 큰 상황.<br /><br />2021년 중국의 수출 제한으로 '요소수 품귀'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요소수가 최근 중국의 수출 절차 강화 조치 이후 국내 수급 부족 사태를 빚고 있어…"<br /><br />12월 현재 국내 요소 비축량은 3개월분으로 2년 전보다 여유가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중국의 수출 지연 기간이 길어지면 요소수 대란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오늘(4일) 업계와 긴급회의를 열고 수급 안정화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공공 비축량을, 업계는 동남아 등 수입처를 늘려 요소 확보에 나설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또 중국 세관의 검역 완료 물량이 차질 없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한-중 FTA 공동위원회를 포함해 다양한 채널로 중국과의 협의를 지속합니다.<br /><br />아울러 필요할 경우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도 선제적으로 준비한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. (moonbro@yna.co.kr)<br /><br />#요소수 #중국 #수급안정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