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금값과 비트코인 가격이 폭등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둘 다 올해 사상 최고치인데요. <br> <br>미국의 금리 인하가 임박했다는 전망 속에 자산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제 금값이 3년 4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. <br> <br>오늘 아시아 거래에서 장중 한때 온스당 2135.39달러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가상화폐 비트코인도 3% 이상 급등하면서 4만 달러를 돌파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5월 테라 사태로 2만 6700달러 선까지 급락했다가 다시 회복한 겁니다. <br> <br>자산 시장이 출렁인 건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발언 때문이었습니다. <br> <br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(지난 1일)] <br>"연준의 강력한 조치로 정책 금리가 제한적인 영역에 들어갔습니다. 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에 하방 압력을 주고 있다는 뜻입니다." <br> <br>시장에선 이 발언이 조만간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. <br> <br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(연준이) 계속해서 금리 자체는 동결하고 있고 실물 경기 상황과 물가 상황이 비교적 안정화되고 있어서 이런 부분들이 자산가격 변동에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 <br>금은 안전자산이지만 이자가 없어 금리가 낮아지면 선호도가 올라갑니다. <br> <br>금리가 떨어지면 위험자산으로도 자본이 이동하는데 비트코인 시세가 뛴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입니다. <br> <br>다만 전문가들은 자산 시장의 변동성이 여전히 큰 만큼 섣부른 투자는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