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청소, 빨래, 설거지 같은 가사노동에서 벗어날 수 있는 나이는 몇 살일까요?<br> <br>손주를 돌봐주는 '황혼 육아' 등의 영향으로, 75세는 돼야 가사노동에서 해방된다고 합니다 .<br> <br>신무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요즘 어르신들에게 황혼 육아는 남 얘기가 아닙니다. <br> <br>[정우섭 / 79세·서울 양천구] <br>"(손자녀를 돌봐준 특별한) 이유가 있다기 보다도 피붙이니까, 피붙이니까 손자, 손녀 봐주고 했었죠." <br> <br>[전복순 / 60대·서울 종로구] <br>"저희는 안 봐준다고 늘 세뇌를 시키거든요. 근데 봐줄 상황이 되면 또 봐줘야 되는 입장인데. 아무튼 할머니들 너무 힘들어요." <br> <br>가사 노동에서 해방되는 나이가 75세라는 통계청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일생을 살아가면서 육아와 빨래, 청소와 같은 집안일을 하게 되는데, 본인이 하는 집안일의 양이 돌봄을 받는 양보다 적어지는 나이가 75세라는 의미입니다. <br> <br>1인당 가사노동 생산액은 자녀 양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38세에 가장 많았고, 그 뒤로 감소하다 퇴직 후 다시 증가하는데 75세에 비로소 가사 노동에서 자유로워집니다.<br> <br>[오정화 / 통계청 경제통계기획과 사무관] <br>"75세에는 이제 고령화되다 보니까 자기가 생산하는 것보다는 돌봄을 받는 게 더 많은 상황이긴 하거든요. 75세까지 (손자녀를) 돌보고 있다라고 보시면." <br> <br>국민의 가사노동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니 연간 490조 9000억 원, 우리나라 국내총생산의 25.5%나 됐습니다.<br> <br>여전히 여성 비중이 72.5%로 남성보다 높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무경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연수 <br>영상편집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신무경 기자 ye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