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내년 새학기부터 교사들은 학교폭력 조사에서 손을 뗍니다. <br> <br>숨진 서이초 교사 등 학교폭력 민원에 시달려온 교사들의 고충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. <br><br>이제 학교폭력 사건은 퇴직 경찰과 퇴직 교사 출신 조사관이 전담하게 됩니다. <br> <br>강보인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내년 3월부턴 학교폭력 조사에 현직 교사들이 참여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학교폭력 전담 조사관2700명을 177개 교육지원청에 15명씩 배치합니다. <br> <br>학폭이나 생활지도, 수사, 조사 경력이 있는 퇴직 경찰, 교사 등을 조사관으로 선발할 계획입니다.<br> <br>위촉직으로 학폭 사안이 발생하면 각 학교로 파견돼 전담 업무를 맡습니다. <br> <br>[이주호 / 교육부 장관] <br>"학교현장이 학교폭력 업무의 과중한 부담에서 벗어나 본연의 기능인 교육적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…" <br> <br>교내 전담기구에 소속된 학폭 책임 교사가 학생들을 조사하고 증빙 자료를 수집했지만, 앞으론 조사관이 대신하게 되는 겁니다. <br> <br>학폭예방, 가해학생 선도 등을 해온 학교 전담 경찰관도 지금보다 10% 더 늘리기로 했습니다.<br> <br>학폭 관련 회의에 참석하는 등 활동 영역도 넓어져 사실상 학폭 조사과정 전반에 관여하게 됩니다. <br> <br>서울 서이초 교사의 사망 사건 이후 학교 폭력 민원에 시달려온 교사들의 현실이 알려진지 6개월, 교원단체들은 "교원의 학폭 업무와 책임 부담이 줄어들게 됐다" 며 환영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학교폭력 조사에 대한 전문성 등이 확보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, 강보인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강보인 기자 riverview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