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캠벨 "북, 미국과 외교에 무관심…억제에 집중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의 고위 외교관이 북한과의 관계 개선 보다는 북한을 억제하는데 더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인 지한파 외교관인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의 말로, 당분간 미국의 대북 정책엔 변화가 없을 것임을 시사하는 발언으로도 읽힙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정호윤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상원 인준 청문회에 나선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 후보자는 "북한이 미국과 외교에 더는 관심이 없다고 판단한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 시절 두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 이후 사실상 북미간 외교적 소통이 없었음을 인정한 셈입니다.<br /><br /> "(트럼프-김정은)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은, 미국이 북한과 접촉하기 위해 사용했던 모든 노력을 거부했습니다."<br /><br />코로나 팬데믹 당시 북한에 백신을 제공하겠다고 제안했을 때도, 또 인도적 지원 방침을 밝혔을 때도 북한은 어떤 응대도 하지 않았다고 밝혔는데,<br /><br />최근엔 무단 월북했다가 귀환한 미군 병사의 송환 과정에서도 미국과 북한은 별다른 접촉조차 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캠벨 후보자는 이를 두고 외교보다는 북한에 대한 억제력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최근 러시아에 각종 무기 지원을 한 사실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 "저는 북한이 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 반하는 방식으로 장거리 미사일과 핵 능력을 계속 완성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한편 한미일 3국은 북한의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실무그룹을 출범시키며 북한의 돈줄을 차단하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정찰 위성을 내세운 북한의 자극과 대북 제재의 고삐를 죄며 압박을 이어가는 미국. 대화의 동력마저 상실한 채 북미관계는 살얼음판을 걷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. (ikarus@yna.co.kr)<br /><br />#미국 #커트_캠벨 #북한 #억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