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보신 것처럼 진짜 마약을 넣어 만든 음식 뿐만 아니라, 중독성 있는 맛으로 자꾸 찾게 되는 음식도 흔히'마약'에 비유하곤 합니다.<br> <br>그런데 6개월 뒤부터 음식에 마약이란 표현을 쓰지 못하게 하는 법안이 통과됐습니다. <br> <br> 물론 강제는 아니고 권고하는 내용이라 납득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이런 것까지 규제하냐는 반발도 있습니다. <br> <br>조현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방문객들로 북적이는 시장, 인기먹거리는 단연코 마약김밥입니다. <br> <br>점포들마다 마약 김밥을 판다는 간판이 붙었습니다. <br> <br>온라인에서도 중독될 정도로 맛이 좋다며 '마약 떡볶이'에 마약 커피, 마약 국밥까지.<br><br>마약 표현을 붙힌 먹거리가 넘쳐납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식품에 마약 관련 표현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할 수 있는 법 개정안이 어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. <br><br>식약처와 지자체는 마약 관련 용어를 식품 표시 및 광고에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할 수 있고. <br><br>사용 중인 마약 관련 표시나 광고를 바꿀 경우 지자체가 관련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.<br> <br>마약 용어가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는 걸 차단하는 동시에,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개정을 추진했다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권고일 뿐 강제성이 없고, 어겨도 과징금 등 처벌도 없습니다. <br><br>상인들은 굳이 바꿀 필요가 있냐며 냉랭한 반응입니다. <br> <br>[마약 김밥 판매 상인] <br>"마약김밥 할 때 허가를 내주지 말아야지 그럼, 간판 허가를." <br> <br>[마약 김밥 판매 상인] <br>"간판을 돈 들여서 한 건데 다시 하려고 해봐요. 되도록이 안 없애는 쪽을 택하지. 돈 들어가니까." <br> <br>심각한 마약범죄를 생각하면 필요한 조치라는 의견도 있지만 지나친 간섭이라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> <br>[문승명 / 인천 남동구] <br>"마약이라는 게 법으로도 불법된 건데 가루가 몰래 거래되고 있기도 하고, 안 쓰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." <br> <br>[윤선기 / 강원 평창군] <br>"마약 김밥을 먹는다고 해서 마약을 권장한다거나 이런 느낌도 솔직히 저는 전혀 모르겠어서 딱히 그렇게 막을 정도는 아니라고." <br> <br>법안은 다음 주 공포 이후 6개월 뒤 시행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