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-중 패권 경쟁이 격화하면서 전 세계 주요 나라는 반도체를 자체 생산하려는 움직임을 가속화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 측면을 넘어 안보로까지 인식하면서 핵심 생산 장비를 확보하는 것을 국가적 과제로 여기는 상황에 이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재 전 세계 반도체의 핵심 생산기지 역할은 우리나라와 타이완이 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컴퓨터·인공지능·스마트폰의 핵심 부품인 시스템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는 파운드리 분야의 절대 강자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-중 패권 경쟁이 격화하고 공급망 불안감이 커지면서 전 세계는 자체적인 반도체 생산역량을 갖추는 데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산업 육성에 50조 원을 쏟아붓겠다는 미국의 반도체 법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[지나 러몬도 / 미 상무장관 (미 하원 반도체법 1년 청문회, 지난 9월) : 반도체법의 목적은 국가 안보를 위한 겁니다. 따라서 중국이 미국을 앞지르는 데 한 푼도 쓰이지 않도록 경계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막대한 투자비용이 드는 반도체 생산 시설 가운데서도 핵심은 네덜란드 기업 ASML이 독점 생산하는 노광장비입니다. <br /> <br />극자외선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의 10,000분의 1보다 가늘게 반도체 설계회로를 그려 넣을 수 있는 이 장비가 없다면 첨단 반도체 생산은 불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[유혜미 /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(YTN 굿모닝경제 출연) : 반도체가 점점 고도화되고 집적화 될수록 회로가 굉장히 좁고 가늘어지게 되는데요. 이 정교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가 바로 네덜란드이고 이 네덜란드의 기업이 바로 ASML인 것이죠.] <br /> <br />미국이 일정 수준 이상의 노광장비를 중국에 들여보내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ASML과 비슷한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경쟁 업체조차 없다 보니 누가 먼저 물량을 확보하느냐부터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안기현 / 반도체산업협회 전무 : 현재는 반도체 제조를 직접 해야만 반도체가 필요한 산업을 육성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에 반도체 제조 공급망 자체를 자국화하는 걸로 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국내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찌감치 지분 투자와 수조 원대 장기계약 등을 통해 ASML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반도체 설비 확보가 국가 차원의 과제로 부상하면서 앞으로 정부 지원의 중요성도 점점 커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민 (tm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1219152484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