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담보대출, 집단대출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 <br />고금리 영향에 기타대출 감소 전환 <br />"올해 가계 빚 증가 규모, 예년보다 크지 않아" <br />금융당국, 이번 달 스트레스 DSR 발표<br /><br /> <br />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다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 영향으로 신용대출은 줄었지만, 주택담보대출은 집단대출을 중심으로 여전히 증가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엄윤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4월부터 껑충껑충 뛰었던 은행권 가계 대출 규모가 다시 숨 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,091조 9천억 원, 한 달 사이 5조 4천억 원이 쌓였습니다. <br /> <br />증가 폭으로만 봤을 때 10월보다 소폭 줄어든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가계 빚을 끌어올리는 주범인 주택담보대출이 집단대출을 중심으로 여전히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 조치로 주택 매매 심리가 위축되면서 자금 수요는 둔화했지만, 입주 물량이 늘면서 일시적으로 잔금 수요가 확대된 겁니다. <br /> <br />[윤옥자 /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 : 주택 구입 자금 수요가 둔화하는 모습이 나타나고는 있습니다. 다만, 11월에는 집단대출 수요가 일시적으로 확대된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….(향후) 전반적인 주담대 증가 규모가 둔화하지 않을까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반면, 고금리 영향으로 일반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대출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연휴 소비자금과 공모주 청약 관련 자금 수요 같은 일시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전체 잔액이 3천억 원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9월부터 금융당국이 대출 조이기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은 올해 들어 증가한 가계 빚이 예년보다 크게 늘어난 건 아니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창 부동산 시장이 호황기였던 지난 2020년과 2021년 당시 증가 규모와 비교해보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 할지라도 금융당국은 여전히 가계 부채 규모가 큰 만큼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또, 대출 한도를 강화하는 '변동금리 스트레스 DSR' 세부 방안을 이번 달 안에 발표하고, 은행권의 잘못된 가계 대출 관행에 대해서는 시정 조치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엄윤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1322211560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