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예상대로 금리를 동결하고, 내년에는 세 차례 금리 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되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두고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 엄윤주 기자,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먼저 오늘 새벽 있었던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동결 소식부터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시장의 예상대로였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 시각으로 오늘 새벽 올해 마지막 공개시장위원회를 마친 미국 연준이 세 차례 연속 금리 동결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22년 만에 최고치인 금리 상단 5.5%를 당분간 유지하기로 결정한 건데요. <br /> <br />발표 전부터 시장에선 현재 금리가 유지될 거라는 전망이 98%를 넘어설 정도로 유력했습니다. <br /> <br />예상이 그대로 맞아떨어졌는데, 사실 시장이 주목한 건 제롬 파월 의장의 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, 제롬 파월 의장은 최근 물가 상승률이 꺾이고 있지만 안심하긴 이르다며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현재 기준금리가 고점에 도달했다며 사실상 인상 종결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: 이번 긴축 국면에서 금리가 꼭대기 또는 그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믿습니다. 하지만 경제는 여러 측면에서 전문가들을 놀라게 하였습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 오늘 공개된 금리 전망 점도표도 시장을 환호하게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준 위원들이 내년 정책금리 전망 중간값으로 4.6%를 내다본 겁니다. <br /> <br />지금보다 0.75%p 더 내리겠다는 건데 한번에 0.25%p씩 내린다고 가정하면 내년에 기준금리를 3차례 인하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미국 시장도 빠르게 반응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루 종일 숨죽이던 금융시장은 연준 발표 직후 수직 상승하기 시작했고 3대 지수 모두 1% 넘게 올랐고요, <br /> <br />특히 다우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런 기대감이 우리 시장에도 곧바로 반영됐더라고요. 오늘 코스피 코스닥 모두 상승 마감했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우리 시장 출발부터 오름세로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어제보다 1.34% 오른 2,544.18로 거래를 끝냈고요. <br /> <br />코스닥도 1.36% 올라 840.59로 장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원화 값 오름세는 더 가팔랐습니다.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달러 약세로 24.5원이나 내리면서 1,295.4원으로 마감했습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1416594064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