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'기준금리 인하'를 예고했습니다.<br> <br> 현재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%포인트 차이인데요.<br><br> 통화정책이 긴축에서 완화로 돌아설거란 기대감에 주가는 오르고 원달러 환율은 20원 넘게 떨어졌습니다.<br> <br>이제 관심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'언제 내리느냐'입니다.<br><br> 신무경 기자 보도 보시고 아는 기자로 이어갑니다.<br><br>[기자]<br>미국이 한국시간으로 오늘 새벽, 기준금리를 상단 기준 5.5%로 3회 연속 동결했습니다. <br><br>동시에 내년 말 기준금리 중간값을 4.6%로 예상했습니다. <br> <br>금리를 세 차례 인하해야 가능한 수치입니다.<br> <br>긴축에서 완화로 통화정책 기조 전환을 공식화 한 겁니다. <br> <br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] <br>"이제 금리 인하 시점이 논의돼야 하며 이는 현재 세계의 화두이자 오늘 회의에서 저희의 화두입니다." <br> <br>기준금리가 내려간단 신호에 국내외 금융시장엔 훈풍이 불었습니다. <br><br>뉴욕증시의 다우지수가 처음 3만 7000선을 뚫었고 애플 주가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. <br> <br>코스피와 코스닥도 전일 대비 1% 넘게 상승했습니다. <br><br>원달러 환율은 24.5원 내린 1295.4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내년 6월쯤으로 보고 우리나라도 이르면 2분기, 늦어도 3분기 기준금리를 두 세 차례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> <br>[조용구 / 신영증권 연구위원] <br>"물가 궤적이 미국보다 우리가 (내년) 상반기 조금 더 높을 걸로 보고 있거든요. 3분기에 한 번 4분기에 한 번 해서 내년에 두 번 정도 내릴 수 있다." <br> <br>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우리나라의 고금리, 고환율, 고물가 부담을 어느 정도 덜어줄 것이란 기대도 나옵니다. <br> <br>중동사태에 따른 국제유가 변동 등 불확실성은 남아 있습니다. <br> <br>한국은행은 오늘 물가 목표 수준 2%대에 도달할 때까지 현재의 통화 긴축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을 고수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무경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준희 채희재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신무경 기자 ye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