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육 곰 국내 보호시설 이송 첫 사례 <br />보호시설 적응 끝나면 일반인에게도 공개 <br />국내 사육 곰 300마리…서천·구례에도 보호시설<br /><br /> <br />전시·관람용으로 길러지던 곰 4마리가 남은 삶을 제주도에서 편안하게 보낼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육 곰이 국내에 마련된 보호시설로 보금자리를 옮긴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이 잘 보이지 않는 캄캄한 철제 우리 안에서 커다란 동물이 조금씩 밖으로 나옵니다. <br /> <br />밝은 곳으로 나온 동물을 보니 얼굴과 몸통이 검은 털로 뒤덮인 반달가슴곰입니다. <br /> <br />이 곰을 포함한 4마리는 원래 용인에서 전시·관람용으로 10년 동안 사육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오랜 '일터'를 떠나 바다 건너 제주에 마련된 보호시설로 보금자리를 옮기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실내에선 각자 분리된 공간에서 따로 지냅니다. <br /> <br />다양한 놀이와 활동이 가능하게 꾸며진 야외공간은 곰 4마리가 함께 이용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사육 곰이 외국 보호시설로 간 적은 있었지만, 국내에 마련된 보호시설로 옮겨진 사례는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곰들이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면 일반 관람객들에게도 공개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강창완 / 제주자연생태공원 원장 : '여기가 내 집이다'라는 걸 인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2∼3일 정도는 갇혀 있는 상태고요. 그 이후에는 야외에 나와서 적응 훈련을 하는데…. 아마 이달 말쯤 되면 일반인에 공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웅담 채취용과 전시·관람용으로 사육되는 곰은 국내에 300여 마리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곰들을 수용할 보호시설이 서천과 구례에도 마련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원 /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사무관 : 앞으로도 사육 곰을 더 좋은 환경에서 보호하기 위해 구례·서천군에 사육 곰 보호시설을 건립하고 이송할 계획이고….] <br /> <br />정부는 2026년부터 곰 사육을 완전히 끝낼 수 있도록 사육농가의 폐업을 유도하고 관련 법 제정을 계속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윤지원 <br />영상편집 : 이자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평정 (py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21523384820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