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커피 원두 대신 버섯과 보리로 커피 향과 맛을 낸 대체 커피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카페인이 부담스러운 사람들 특히 임산부들이 많이 찾는다고 합니다. <br> <br>송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의 한 카페에서 파는 라테 음료입니다. <br> <br>카페 라테와 맛은 비슷한데 커피 원두 대신 보리가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[김부경 / 서울 동대문구] <br>"카페인에 좀 예민한 편이어서 많이 마시고 싶어도 못 마시는 편인데. 모르고 먹었으면 그냥 커피라고 알고 먹었을 것 같아요." <br><br>병음료 형태의 대체 커피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커피는 없지만 아메리카노와 카페 라테의 맛을 냈습니다. <br> <br>[정유찬 / 대체 커피 업체 대표] <br>"보리를 로스팅해서 커피 맛을 일부 구현하되 커피 맛을 방해하는 요소들 같은 경우는 우유를 이용해서 약간 마스킹(숨기는)한다는 느낌으로." <br> <br>대체 커피용으로 가장 흔히 쓰이는 재료는 보리입니다. <br><br>보리는 고온에서 단시간 볶으면 보리차가 되지만, 170~180도 미만 저온에서 장시간 볶으면 커피 맛이 납니다.<br> <br>로스팅된 보리는 분쇄해 에스프레소처럼 고온 고압으로 추출됩니다. <br> <br>이런 원리를 활용해 2019년 농촌진흥청은 검정보리와 커피 원두 등을 섞어 <br> <br>카페인 함량을 90% 줄인 커피를 개발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해외에서는 보리 외에도 해바라기씨와 수박씨, 버섯 등으로 만든 대체 커피들이 다양하게 선보였습니다. <br> <br>세계 대체 커피 시장 규모는 지난해 27억 달러에서 2030년 53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송정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승헌 <br>영상편집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송정현 기자 sso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