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A 시작합니다. 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한미 정상간 북핵 핫라인이 구축됐습니다. <br><br>북한이 핵 도발을 할 경우 한미 정상이 즉각 통화를 해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수 있도록 전용 시스템을 만든 겁니다. <br> <br>미국의 핵 자산을 활용하는 실전 훈련에도 돌입합니다. <br> <br>내년 한미연합 훈련부터 핵 작전 시나리오를 포함시켜서 북한의 핵 도발에 대비하기로 한건데, <br> <br>미국의 핵 전력과 우리의 재래식 전력을 조합해서 한미가 실제 한 몸처럼 대응할 수 있도록 실전 능력을 키우겠단 겁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 소식, 워싱턴에서 이은후 특파원이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한미 안보 관계자들이 총출동한 두 번째 '핵협의그룹' 회의의 핵심은 내년부터 한미 연합 훈련에 '핵 작전 시나리오'가 포함된다는 겁니다. <br> <br>북한의 실제 핵 공격을 염두에 두고 한미 합동 훈련이 실시되는 것은 처음입니다. <br> <br>북한 핵 공격 시 미국이 알아서 보복하는 기존 개념에서 벗어나 우리나라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공동 대응 하는 전략으로 바뀌는 겁니다. <br> <br>구체적으로, 미국의 '핵 전력'과 우리나라의 '재래식 전력'을 조합해 함께 작전을 수행하는 방안 등이 포함됩니다. <br> <br>한미 당국은 내년 8월 '을지 자유의 방패(UFS)' 훈련 등에서 핵 작전 시나리오를 포함시킬 방침입니다. <br> <br>이번 회의는 5개월 전 1차 회의 때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 대응책이 구체화 됐습니다. <br> <br>핵 위기 상황 시에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즉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휴대장비가 마련 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.<br><br>한미는 회의 후 공동성명을 내고 "북한의 어떤 핵 공격도 용납될 수 없으며, 이는 김정은 정권의 종말로 귀결될 것"이라며 북한을 압박했습니다.<br> <br>[김태효 / 국가안보실 1차장 (현지시각 어제)] <br>"한미 일체형 확장 억제 체제로 나아갈 것입니다. 북한의 핵 공격이 만에 하나 발생할 시 즉각적이고 압도적이며<br>결정적인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."<br><br>한미 양국은 내년 6월 한국에서 열릴 제3차 핵협의그룹 회의에서 '한미 일체형 확장억제 체제'를 완성한다는 계획입니다.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"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