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소건설사 이달만 40곳 도산…부동산 PF발 위기 고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고금리에 높은 공사비로 건설업계가 침체된 가운데 지방 중소건설사의 도산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만기 연장으로 숨통을 틔워주던 정부도 부실기업 옥석 가리기를 예고하면서 긴장감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보도에 박효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시공능력 16위 중견건설사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설에 휩싸인 건 지난주입니다.<br /><br />프로젝트 파이낸싱, PF 우발채무가 3조 4,000억원을 넘는다는 한 산업전망 보고서가 계기가 됐는데, 태영건설은 이를 부인했습니다.<br /><br />태영 측은 "그룹 차원에서 8,000억원을 지원하고 물류사업을 매각하는 등 유동성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워크아웃은 사실이 아니다"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소건설사는 상황이 더 심각한데 이달 초 시공능력 285위인 경남의 남명건설이 부도나는 등 이달만 종합건설사 40곳이 도산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수년간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PF 대출잔액은 크게 늘어 2020년 말 92조 5,000억원에서 지난 9월 기준 134조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시장이 침체하면서 2020년 말 0.55% 수준이던 연체율은 9월 말 기준 2.42%까지 올라왔습니다.<br /><br />미래 수익을 담보로 사업비를 빌리는 PF 특성상 시장이 호황일 땐 괜찮지만 불황에는 부메랑으로 돌아오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작년 미국의 갑작스런 기준금리 변동으로 국내 건설시장이 크게 영향받은 게 지금의 현황입니다. 시장이 호황일 때 여러 사업장이 벌어져 있다가 갑작스럽게 시장환경이 바뀌게 되면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문제는 대주단 협약에 따른 만기 연장으로 부동산 PF 부실을 막아온 금융당국이 최근엔 노선을 변경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이복현 금감원장은 기업의 자기 책임을 잇따라 강조하며 부실기업은 시장 원칙에 따라 정리가 불가피하다는 원칙을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2008년 금융위기가 부른 PF 부실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가운데 건설업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. (bako@yna.co.kr)<br /><br />#태영건설 #건설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