충남 당진에서 개인이 사육하던 곰이 탈출해 사살된 일이 또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후화한 시설을 뜯어내고 탈출했던 거로 조사됐는데요. <br /> <br />곰 사육 금지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지만 관련 법안이 국회에 계류된 상태에서 탈출 사건은 계속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상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찰과 소방관들이 손전등을 비춰가며 곰 사육 농장으로 향합니다. <br /> <br />잠시 뒤 우리 밖에 있던 무게 100kg짜리 반달가슴곰이 엽사가 쏜 총에 맞아 죽었습니다. <br /> <br />농장 안에서 2시간 만에 사살된 곰은 이곳 사육장 바닥을 뜯어내고 탈출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곰이 농장주에게 달려드는 아찔한 순간도 있었지만,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농장에서는 90마리 넘는 곰이 사육되고 있었는데, 낡은 사육장 곳곳이 녹슬거나 부식된 상태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순기 / 인근 마을 주민 : (곰이) 또 탈출을 언제 할지 모르잖아요. 지금 (농장이) 오래돼서 이게 탈출을 했으니까 위험한 상태거든요. 우리는 불안해서 못 살죠.] <br /> <br />지난해 12월 울산의 한 무허가 농장에서 키우던 곰들이 탈출해 농장 부부가 숨지는 등 곰 탈출 사건은 흔치 않게 일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웅담 채취용과 전시·관람용 등 전국에 있는 곰 사육 농가는 21곳. <br /> <br />환경부가 오는 2026년부터 곰 사육을 금지하겠다는 계획에 모두 동의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시설이 열악한 9개 농장에 보수비 5천4백만 원을 긴급 지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사건이 발생한 농장 주인은 지원 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곰이 탈출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곰 사육 농장주 : 농가마다 나눠서 썼는데 그거 가지고 수리비는 턱도 없어요. 용접을 거의 매일 매일 하죠. 안전하게 시설을 하려면 좀 추가로 더 보강해야 하지 않겠나….] <br /> <br />곰 사육을 금지하고, 이에 응한 농가들을 지원하는 법안은 지난 5월 국회에 발의됐지만, 아직 법사위에 계류 중입니다. <br /> <br />[정환진 /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 : 곰 사육 금지에 관한 법을 이제 국회에서 통과하는 작업을 하고 있고요. 저희가 한번 또 전체적으로 사육 곰에 대해서는 조사를 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지난 8월에는 경북 고령의 한 농장에서 암사자 한 마리가 우리를 탈출해 사살됐습니다. <br /> <br />동물보호단체는 곰 등 대형 야생 동물의 사육 현황을 파악하고 시설 기준에 대한 법적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할 필요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상곤 (sklee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21819594123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