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<br>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오늘부터 한미일 3국이 실시간으로 북한의 미사일 경보 정보를 공유합니다. <br> <br>365일 24시간 북한이 미사일을 쏘는 순간 3국이 모든 정보를 공유하게 됩니다. <br> <br>우리 측 탐지자산이 닿지 않는 태평양 지역 정보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. <br> <br>북한이 어제 발사한 신형 고체연료 ICBM, 화성-18형의 발사 장면을 오늘 공개했는데요. <br> <br>이렇게 실전배치가 임박한 상황에 우리 군 대응도 빨라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민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터널에 숨어있던 이동식 발사 차량이 기동을 시작하고 하얀 눈이 내린 논밭 사이에 멈춰 섭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3, 2, 1. 발사." <br> <br>굉음과 함께 불꽃을 내며 미사일이 하늘로 솟구칩니다. <br> <br>북한이 어제 오전 발사한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-18형 모습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지난 4월과 7월 공개 당시 '시험 발사'라고 설명한 북한 매체는 이번엔 '발사 훈련'이라며 실전배치가 임박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><br>[조선중앙TV] <br>"공화국 핵전략무력의 압도적 대응의지와 무비의 힘을 적들에게 똑똑히 각인시키기 위한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-18형 발사 훈련이 단행됐습니다."<br> <br>이에 맞서 한미일 3국도 오늘부터 실시간으로 북한의 미사일 경보 정보를 공유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북한 미사일의 발사지점과 비행 속도와 궤적, 예상 탄착지점이 공유되는 정보입니다.<br><br>어제까지 한국과 일본이 정찰자산으로 각각 포착해 미국을 거쳐 제한적으로 공유하던 정보를 이제부터 한미일이 24시간, 365일 상시 공유 시스템을 통해 대응하는 겁니다.<br> <br>우리 군 자산으로 탐지할 수 없는 범위의 정보를 일본을 통해 즉각 확보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북한의 도발 다음날 우리 군은 한미 양국 특수부대가 핵심 시설에 침투해 사람 모양 표적을 사살하는 연합훈련 모습을 전격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[이성준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] <br>"어제 북한의 도발 관련해서 정기적인 훈련이지만 공개한 것입니다." <br> <br>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최근 북한 지도부 제거작전인 이른바 '참수작전' 훈련 가능성을 언급해 이번 훈련이 이를 대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