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은 마련했지만…'영끌' 청년층, 중장년보다 빚 많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택을 소유한 청년들이 다른 유주택 중장년들보다 빚을 더 크게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영끌' 내집 마련의 영향으로 분석되는데요.<br /><br />아직 소득이 적은 청년들이 빚 갚느라 허리가 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리나라 인구 구조는 아직까지 '항아리' 형이지만, '역피라미드' 형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40~64세 중장년층과 65세 이상 노년층이 0.1%, 4.9% 각각 증가한 반면, 15~39세 청년층은 2.4%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청년층 연 평균 소득은 2,781만원으로 중장년층보다 31% 적고, 노년층보다는 57%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소득이 많은 중장년층에서 대출이 있는 비중도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, 빚이 큰 순서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 값은 청년층인 30대 후반이 8천만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주택이 있는 청년층의 대출 잔액 중앙값은 1억4,150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중장년층과 노년층보다 높고, 무주택 청년층의 대출 잔액 중앙값 2,759만원보다는 5배 높은 규모입니다.<br /><br />이는 청년들이 내 집이 있어도, 이른바 '영끌' 대출을 통해 힘겹게 마련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로도 해석됩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주택 소유 비중은 청년층이 11.8%에 그쳤고,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각각 44%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 "청년층 같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자산이 없는 계층이다 보니까 주택을 마련할 때 대출을 좀 더 많이 일으키는 것으로 보입니다."<br /><br />노년층은 작년 한 해 진료비로 1인당 515만 원을 써 중장년층보다 2배 이상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노년층과 중장년층의 사망 주원인은 모두 암이었는데, 청년층은 '고의적 자해'가 주된 사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청년 #중장년층 #노년층 #소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