간병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자, 정부가 병원이나 요양병원에 입원한 중증 환자들을 중심으로 간병 서비스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퇴원 뒤에도 돌봄서비스를 지원해서 앞으로 4년 동안 간병비를 11조 원 절감한다는 목표인데, 재원 확보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김혜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2019년 YTN 보도 : 간병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한 둘째 아들의 범행으로 추정됩니다.] <br /> <br />[2017년 YTN 보도 : 노부부의 비극 원인은 이른바 병간호 스트레스로 추정됩니다.] <br /> <br />'간병 지옥', '간병 살해'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로 간병비 부담이 커지면서, 지난해 간병비는 10조 원을 넘은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정부는 2015년 도입한 간호·간병 통합 서비스를 처음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중증환자 전담 병실을 도입해 간호인력을 늘립니다. <br /> <br />간호사 1명이 환자 4명, 간호조무사가 환자 8명을 담당하게 되는데, 중증환자 비율이 높으면 간호사를 더 배치합니다. <br /> <br />요양병원 환자들에게도 간병 인력을 지원합니다. <br /> <br />내년 7월 시범사업에서 우선 10개 병원에서 600명을 선정해, 180일 안팎으로 지원해줍니다. <br /> <br />전체 요양병원 환자 가운데 중증 환자인 2만5천 명 중에서 평가단이 선정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2단계 시범사업을 거쳐 오는 2027년 전국 요양병원에 도입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또, 퇴원 환자에게도 간호·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27년까지 재택의료센터를 확대하고 내년에 방문형 간호 통합제공센터를 신설합니다. <br /> <br />시군구가 퇴원환자 정보를 받아 센터에 연계하면 방문 간병 인력을 환자에게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2027년까지 4백만 명이 혜택을 받아 간병비를 10조7천억 원 줄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[유의동/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: 간병비 부담을 10.7조 원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. 국민 개개인 의료비 지출 부담은 하루평균 약 9만 원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.] <br /> <br />문제는 정책을 뒷받침할 재원을 어디서, 얼마나 확보하느냐입니다. <br /> <br />일단 내년 요양병원 간병 지원 시범사업에는 국비 85억 원을 확보했지만, 나머지 재원은 추계조차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'중도' 환자까지 지원했을 때 최대 15조 원을 추산했지만, 지원자 대상 선정 기준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혜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혜은 (henis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22117110853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