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사율 100%인 아프리카돼지열병(ASF)이 중국에서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많은 돼지들이 병에 걸려 폐사하거나 살처분되고 있는데, 돼지고깃값은 오히려 폭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유가 뭘까요?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농가 앞에 죽은 돼지들이 널브러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거대한 구덩이에 살아 있는 돼지떼를 몰아 넣고 살처분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돼지 농장 관리인 : 돼지들이 모두 일어나질 않네요. 여기 큰놈도 그렇고, 제 주변에 전부 아프리카돼지열병이에요.] <br /> <br />타이완 중앙통신은 지난 4월부터 중국 북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, ASF가 퍼졌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8일 중국 소시지에서 ASF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된 뒤 나온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ASF는 허베이성과 허난성, 산둥성 등지에서 발병해 점차 중부와 남부 지방으로 번져나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최대 양돈 지역인 쓰촨성은 최근 30kg 넘는 외지 돼지의 반입을 금지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ASF는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치사율이 100%에 달하지만,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당국은 일반 돼지 열병 사례만 종종 공개할 뿐 ASF 유행에 대해선 쉬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타이완 TTV 뉴스 (지난 19일 보도) :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병했지만 세계동물보건기구(WOAH)에 통보되지 않아 전염병 상황이 불투명합니다.] <br /> <br />ASF 확산에 따라 폐사율은 높아지는 데, 돼지고깃값은 오히려 40% 가까이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 매체들은 전염병 확산에 놀란 농가들이 도축을 서두르면서 일시적 공급 초과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베이징 신파디 시장 정육점 직원 : 먹는 것보다 생산이 많으니, 시장에서 소화가 되지 않아서 가격 하락을 초래합니다.] <br /> <br />중국 식탁에 빠짐 없이 오르는 돼지고기, 최근 소비자 물가를 끌어내린 주요 원인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국의 침묵 속에 퍼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디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있단 뜻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122121000428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