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지명자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된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. <br> <br>2심 재판부도 1심과 같은 벌금 500만 원 형을 선고했습니다. <br> <br>재판정을 나온 그는 반성보다는 강한 뒤끝을 보였습니다. <br> <br>[유시민 /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(그제)]<br>작은 오류를 가지고 이렇게 법원이 유죄 선고를 한다면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시민의 권리와 표현의 자유는 도대체 어디서 지켜줄 것인지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. <br> <br>진보진영 인사들은 대법원에서 유죄가 나도 진실이 아니라며 외면해왔죠. <br> <br>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대법원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김경수 경남지사는 "진실은 아무리 멀리 던져도 반드시 다시 돌아온다"는 명언(?)을 남겼었죠. <br> <br>[김경수 / 전 경남지사(2021년 7월)]<br>외면당한 진실이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제자리로 돌아올 것이라고 저는 확신합니다. <br> <br>건설업자로부터 9억 원대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대법원에서 2년형을 선고받은 한명숙 전 국무총리.<br><br>양심의 법정에서 무죄라는 논리를 펴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한명숙 / 전 국무총리(2015년 8월 20일)]<br>역사와 양심의 법정에서 저는 무죄입니다. 비록 제 인신을 구속한다 할지라도 저의 양심과 진실마저 투옥할 수는 없습니다. <br> <br>구속된 송영길 전 대표도 돈 봉투 살포가 '뭐 그리 중대한 범죄냐'고 반문하기도 했었죠. <br> <br>전직 장관, 전직 총리, 전직 도지사, 전직 대표 우리는 살면서 본의 아니게 실수하거나 잘못을 합니다. <br> <br>경중에 따라선 사법적인 심판도 받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사과하고 뉘우치면 피해자나 국민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그렇지 않으면 그 죗값은 평생 꼬리표가 돼 따라다닐 겁니다. <br> <br>60대가 되면 뇌가 썩는다는 말처럼요.<br /><br /><br />천상철 기자 sang1013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