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부 말만 믿었다가 피해를 보게 된 사람들이 있습니다. <br> <br>실거주 의무 폐지가 확실하다는 정부 발표에 덜컥 청약을 넣어 당첨까지 됐는데, 정작 국회 통과가 늦어지면서 집을 팔거나 전세를 줄 수도 없는 상황이 된 겁니다.<br> <br>유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르면 내년 말 입주를 시작하는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입니다. <br> <br>올해 초 정부가 실거주 의무를 폐지하겠다고 밝히면서 부동산 침체 속에서도 일반분양 물량이 완판됐습니다. <br> <br>지금은 사정이 다릅니다. <br> <br>실거주 의무를 없애는 내용의 주택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에 세입자를 받아 잔금을 마련하려던 계획이 틀어진 겁니다. <br> <br>정부 발표를 믿고 분양을 받았던 사람들은 당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.<br> <br>[둔촌주공 계약자] <br>"정부의 약속이었기 때문에 이거를 믿고 당연히 전세를 2년 이렇게 줬다가 나중에 입주하려고 했던 분들이 상당수가 있어요." <br> <br>실거주 의무 때문에 집을 팔기도 어렵습니다. <br> <br>[공인중개사] <br>“학교라든지 직장이라든지 그런 것 때문에 거주를 못할 그런 상황도 있을 거고. 여러 가지 문제들이 많이 발생을 하겠죠.” <br><br>당장 내년 2월 입주인 고덕 어반브릿지 계약자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온라인 입주자 커뮤니티엔 "서민들이 전세를 안고 내 집 마련하려는데 법안 통과를 왜 막느냐"는 불만이 나옵니다. <br> <br>실거주 의무가 적용되는 아파트 단지는 전국 72개, 4만 7000여 가구입니다.<br> <br>주택법 개정안은 지난 21일 국회 국토위 법안소위에서 통과가 불발됐습니다. <br> <br>야당이 "갭 투자를 부추길 수 있다"고 반발하고 있어 오는 27일 통과도 불투명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애당초 정부가 국회 동의가 필요한 규제 완화 정책을 일방적으로 발표하면서 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 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연수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