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종교적으로 '러시아 정교회'의 영향권에 있는 우크라이나는 매년 1월 7일을 성탄절로 기념해왔죠.<br> <br>그런데 올해부턴 성탄절을 우리처럼 12월 25일로 바꾸기로 했습니다.<br> <br>전쟁 상대인 러시아의 흔적을 지우려는 겁니다.<br> <br>강병규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도심에 화려한 트리 장식이 들어섰습니다. <br> <br> 러시아의 무력침공으로 신음하는 우크라이나에도 두번째 크리스마스가 찾아왔습니다. <br> <br>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12월 25일 성탄 미사를 허용했고 올해는 국가 차원에서 성탄절을 12월25일로 지정했습니다. <br> <br>[테티아나 / 키이우 시민] <br>"가족들과 성탄절을 12월 25일에 보내는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. 좀 생소하지만 새 전통에 맞춰야죠. 역사를 복원하자는 취지에서요." <br><br> 우크라이나는 세계 표준인 그레고리력과 13일 차이가 나는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1월7일을 100년 넘게 성탄절로 기념했습니다.<br> <br> 그러나 러시아 정권을 지지하는 동방 정교회에 반감이 커지자 법으로 성탄절 날짜를 바꾼 겁니다. <br> <br>[미카일로 오메리안 / 우크라이나 정교회 사제] <br>"왜 우리는 러시아인들이 하던대로 기념해야 하나 의문이 생긴거죠. 우리는 우리 교회가 따로 있고 이 결정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." <br> <br> 러시아군과 맞서는 최전방에도 13일 일찍 성탄절이 찾아왔습니다. <br> <br>[보흐단 / 우크라이나 군인] <br>"올해 가족들과 크리스마스를 보낼 예정입니다. 12월 25일에요." <br> <br> 참혹한 전쟁은 또다시 해를 넘기게 됐지만 성탄절을 앞두고 평화를 기원하는 목소리는 우크라이나 전역을 울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[마리나 훕스카 / 키이우 시민] <br>"제 아이는 전쟁도 모르죠. 좀 더 자라면 설명할 거예요. 지금은 지구상 다른 아이들처럼 이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즐기도록 할 거예요" <br> <br>채널A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강병규 기자 be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