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기업 총수 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경우가 181건으로 지난 3년간 계속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법적 채임은 회피하면서 권한과 혜택을 누리는 것이어서, 책임 경영 측면에서 우려스러운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부당 내부거래를 통한 경영권 승계 등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하이트진로 오너 일가, <br /> <br />박문덕 회장과 사장인 장남은 5개 계열사 미등기임원이고, 부사장인 차남도 미등기임원입니다. <br /> <br />상법상 책임은 지지 않고 실질적인 권한과 혜택을 누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집단 조사 결과 지난 3년간 이 같은 총수일가 미등기 임원 직위 수는 계속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계열사 대비 미등기임원 재직 회사 비율도 여전히 5%를 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이트진로가 46.7%로 가장 높았고, DB, 유진, 중흥건설, 금호석유화학 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홍형주 /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관리과장 : 사익 편취 규제 대상 회사라고 해서 총수 일가가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회사들을 저희가 특별히 관리하고 감독하는데요. 사익 편취 규제 대상 회사에 집중적으로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 중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] <br /> <br />공정위는 다만 대기업 계열사 가운데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은 16.6%로, <br /> <br />5년 만에 상승해 책임 경영 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삼천리, 이랜드, 미래에셋, 태광, DL 등 5개 집단은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견제 기능을 해야 하는 사외이사가 거수기 역할에 그치는 상황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1년간 대기업 이사회 상정 안건 가운데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경우가 0.7%(55건)에 그쳤고, 사외이사가 반대한 건은 0.2%(16건)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(51.5%)과 참석률(96.6%)도 지난해보다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김희정 <br /> <br />그래픽 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2618251595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