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주의에 의한 실화에 무게…담배꽁초 발견되기도 <br />계단식 구조가 ’굴뚝’ 역할…연기 삽시간에 퍼져 <br />’화재 차단’ 방화문 열려있어 피해 커져 <br />스프링클러, 16층 아래에는 설치되지 않아 <br />의무 규정 시행 전 건축…"경보음 제때 안 울려"<br /><br /> <br />성탄절 새벽, 주민 두 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방학동 아파트 화재 현장 합동감식 결과 부주의로 불이 났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화재 현장에서 담배꽁초를 발견한 경찰은 화재와의 연관성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닫혀 있어야 할 방화문이 벽돌 등으로 고정된 상태로 열려 있었던 점도 피해를 피운 요인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안동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찰 통제선 뒤로, 검은 조끼를 입은 인력이 아파트로 향합니다. <br /> <br />성탄절 새벽, 주민 두 명의 목숨을 앗아간 서울 방학동 아파트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해 관계기관이 합동감식에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4시간가량 현장을 살핀 끝에 합동감식반은 부주의에 의한 실화 가능성에 무게를 뒀습니다. <br /> <br />발화 지점 주변에서 담배꽁초를 발견하고 화재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상훈 / 서울경찰청 과학수사대장 : 관계기관 합동감식 결과 전기적 요인에 의한 발화 가능성은 배제가 되고, 인적 요인에 의한 발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 확인되었습니다.] <br /> <br />합동감식반은 아파트 계단이 굴뚝 역할을 하면서 피해가 커진 것으로 봤습니다. <br /> <br />불은 3층에서 시작됐지만, 연기가 아파트 계단을 타고 올라가 삽시간에 퍼졌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, 화재 때 연기를 차단해야 할 방화문이 곳곳마다 열려 있어 계단으로 대피하던 주민이 숨지는 등 피해가 커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불이 난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방화문입니다. <br /> <br />원래는 닫혀있어야 하지만, 이렇게 벽돌을 가져다 놓아 열린 상태로 고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불이 나면 즉시 물을 뿌려주는 스프링클러도 16층 이상에만 설치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11층 이상 공동주택의 경우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야 한다는 의무 규정이 시행되기 전인 2001년 아파트가 지어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화재 당시 경보음이나 대피 방송이 제때 나오지 않았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화재 아파트 단지 주민 : 제가 5시경에 일어나서 5시 30분에 출근을 하는데, 그 당시에 그런 소리 들은 적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조금만 더 주의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안동준 (eastju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22619213038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