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위안부 담화' 고노 "당시 총리, 강제성 인정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993년, 일제강점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와 반성의 뜻을 담아낸 '고노 담화'를 발표했던 고노 요헤이 전 일본 중의원 의장이 담화 발표 당시 총리도 위안부 모집에 강제성이 있었음을 판단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담화 발표가 총리의 승낙을 받아 이뤄진 점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박상현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본 중의원 홈페이지에 처음 공개된 고노 전 중의원 의장의 구술 기록입니다.<br /><br />이 기록은 2019년 10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31차례에 걸쳐 채록됐는데, 여기에는 고노 전 의장이 관방장관 시절이던 1993년 발표한 '고노 담화'에 대한 회고 내용도 포함돼 있습니다.<br /><br />고노 전 의장은 이 구술 기록에서 "심증으로는 분명히 강제적으로 이뤄졌다는 것으로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총리도 생각했고, 그런 의미에서 강제가 있었다고 해도 좋다고 보게 됐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담화 발표 시 미야자와 총리의 승낙을 얻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"내각의 의사로 말한 것이 됐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관방장관 담화여서 내각 전체 입장이 아니라는 일각의 주장을 반박한 겁니다.<br /><br />고노 전 의장은 또 위안부 강제 연행을 입증할 자료 여부에 대해서는 "구체적으로 데려왔다거나 끌고 오라는 군의 자료는 남아 있지 않지만, 군이 그런 공문서를 남길리가 없다"며 종전 직후 군 자료를 모두 태웠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또 "당시 담화가 한국인만 대상으로 했다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"며 "위안부 문제 전체에 대한 담화"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고노 담화는 일본군이 강제적으로 위안부를 모집했다는 점을 처음으로 인정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, 배상에 대한 언급이 없고 법적 책임은 종결됐다는 입장을 견지한 점은 한계라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연합뉴스 박상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