늘어나는 스토킹 피해…손길 더 필요한 피해자 회복 정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상을 무너뜨리는 스토킹 범죄가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복되는 스토킹 범죄에 피해자 보호를 위한 '스토킹방지법'도 제정됐는데요.<br /><br />범죄 성격상 치료 회복이 시급한데요.<br /><br />여성가족부가 지난 5개월간 371명의 회복을 지원했습니다.<br /><br />이화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신당역 스토킹 살해범 전주환은 피해자 주소지부터 찾아갔습니다.<br /><br />이석준, 김병찬 등 또 다른 스토킹 가해자들 역시 피해자가 있는 곳을 확인해 범행을 저질렀습니다.<br /><br />피해자 보호가 시급하단 목소리에 지난 1월 '스토킹 방지법'이 제정됐고, 지난 7월 18일부터 시행됐습니다.<br /><br />예방 교육과 함께 무엇보다 치료·회복을 통해 피해자를 일상으로 복귀시키는 문제가 중요해졌습니다.<br /><br />여성가족부는 지난 5개월 간 스토킹 피해자 지원 사업을 시범 운영해 371명을 지원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 상담 등을 제공하는 치료회복 프로그램을 지원받은 피해자가 311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.<br /><br />30일 이내로 개별 공간에 머무를 수 있는 긴급 주거 지원에 52명, 3개월 간 임대주택 주거를 지원하는 사업에 8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.<br /><br />임시로 주거를 지원받은 피해자들은 가해자가 언제 어디서 나타날지 모르는 불안감을 덜었습니다.<br /><br /> "피해자가 긴급하게 보호를 받고 퇴소하고 난 다음에는 사고 없이 개인의 안정된 생활로 지금 되돌아가서 생활을 하고 계시거든요."<br /><br />스토킹 범죄가 늘고 있는 상황에 지원 필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사업 추진이 쉽지만은 않습니다.<br /><br />사업은 당초 4월부터 시범 운영 계획이었지만, 긴급 주거지원 등 사업은 처음인 만큼 수행기관 모집이 어려웠습니다.<br /><br />여가부는 내년에는 예산을 10억 더 편성해 긴급주거 지원을 17개 시도로 확대 운영하고, 전담인력도 기관당 기존 3명에서 4명으로 늘려 지원 공백이 없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화영입니다. (hwa@yna.co.kr)<br /><br />#여성가족부 #스토킹 #피해자_지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