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순수예술 분야에서도 세계적 수준의 작가와 작품이 나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청년들의 문화예술 체험 기회를 늘리기 위해 연간 15만 원의 관람비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미국 빌보드 어워즈에 케이팝 분야가 신설된 것만 봐도 케이팝은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로 세계인들에게 각인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순수예술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아티스트가 나오곤 있지만, 단체 차원에선 인지도나 대표작이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주목한 건 이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순수예술을 한류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보고 지원을 통한 확산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유병채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장 : 순수예술 지원을 확대하겠습니다. 대한민국을 대표할 작가와 작품이 나올 수 있도록 예술 창작 지원 방식을 개선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국민이 문화예술을 접할 환경도 달라져야 한다고 봤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소비 의향은 크지만, 비용 고민이 많은 성년기 진입 층, 19세 16만여 명에게 당장 내년부터 1인당 연간 15만 원 한도에서 공연과 전시 관람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을 비롯한 전국 5개 권역엔 2030년까지 1조 5천억 원을 들여 문화예술 기반시설도 만들고 <br /> <br />소액·다건 중심, 중복 지원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문화예술 지원 사업은 대대적으로 손질합니다. <br /> <br />특정 시기에 열려온 대표적인 행사를 중심으로 다른 비슷한 행사들을 통합해 축제처럼 개최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돈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의 문예기금으로 목표대로 순수 예술을 지원하려면 매년 지금보다 3배 많은 5천억 원가량이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지역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대규모 공연장을 지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도 고려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김헌식, 문화평론가 : 군마다 시마다 문예회관 유효공간들이 상당히 있습니다. 그런데 중요한 건 그 안에서 공연 콘텐츠를 어떻게 채울 것인지 여기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상당히 부족해서 예산 낭비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이 듭니다.] <br /> <br />인력 부족 문제가 현실화하는 상황에서 작품의 질과 공연장의 안전을 담보할 전문 인력 충원 문제 계획도 아직 현실적인 답이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이동형 <br /> <br />그래픽:홍명화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정회 (jungh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122923163516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