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고물가·고금리·가계부채…2023 한국경제 성적표는

2023-12-30 0 Dailymotion

고물가·고금리·가계부채…2023 한국경제 성적표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2023년이 이제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올 한해 우리 경제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?<br /><br />지난 1년 한국 경제가 걸어온 길, 강은나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제통화기금 IMF 등이 예측한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은 1.4%.<br /><br />잠재성장률 2.0%에도 못 미칩니다.<br /><br />올해 성장률을 주저앉힌 주범 중 하나는 '수출 감소'입니다.<br /><br />상반기 세계적인 반도체 한파에 제조업 중심으로 수출이 고전을 이어갔고, 중국 시장 침체에 대중국 무역도 31년 만에 적자 위기를 맞았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중동 분쟁까지.<br /><br />유가와 각종 원자잿값이 급등하면서 물가는 치솟고, 물가를 잡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도 2월부터 3.50%로 7연속 동결하며, 이미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진 2%포인트 한미 금리차를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무역수지가 지난 6월부터 간신히 흑자로 돌아섰지만, 고물가, 고금리에 소비 여력이 크게 줄면서 '내수 침체'는 여전히 우리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저금리 시기에 불붙은 부채 증가세는 정부 억제책으로도 잡기 쉽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가계부채가 1,875조원을 넘어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습니다.<br /><br />5대 은행의 건설업 대출 연체액이 지난달 1,051억 원으로 1년 만에 두 배 넘게 급증하며,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PF 위기설도 다시 고개 들었습니다.<br /><br />고금리 시기 역대급 실적을 달성하고, '이자 장사' 비판에 더해 잇따른 횡령 사고와 홍콩 H지수 ELS 불완전판매 논란에 휘말린 은행권은 2조 원대 '상생 방안'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내년 세계 경제가 완만한 침체로 전환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 속에 한국은 저성장 장기화 기로에 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경제 #저성장 #고물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