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은 일상회복 이후 새해맞이 행사를 재개하며 분위기 띄우기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미국의 견제와 압박 속에 디플레이션의 수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숙제가 가볍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중국으로 가봅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 <br /> <br />[엥커] <br />중국의 새해 표정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은 한국보다 1시간 느려서 아직 새해 카운트다운에 들어가기 전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3년 제로코로나 방역 통제에 막혔던 축하 행사들이 재개되며 분위기가 달아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국의 새해 하면 폭죽을 빼놓을 수 없죠. <br /> <br />그동안 베이징을 비롯한 대도시에선 화재 위험과 매연 발생 등의 이유로 불꽃놀이를 엄격히 금지해 왔는데요. <br /> <br />며칠 전 중국의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폭죽 판매와 불꽃놀이를 전면 금지한 규정은 수정해야 한다고 발표해 재차 논란에 불을 붙인 상탭니다. <br /> <br /> <br />중국의 지난 1년을 돌이켜 보면 일상회복 이후에도 경기 활성화는 더뎠습니다. 새해 전망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는 중국의 일상회복 원년이자, 시진핑 집권 3기 원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시 주석은 그제(29일) 국정자문기구인 정치협상회의 신년 다과회에서 연초에 세웠던 5% 성장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말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러나 ytn 취재진이 직접 만나 본 베이징 주민들의 생각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[베이징 주민3 : 그건 숫자일 뿐입니다. 실제 서민들의 솔직한 느낌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.] <br /> <br />[베이징 주민4 : 새해에도 별다른 전망이란 게 없어요. 매년 좋아지길 바라지만, 실제 어떨진 알 수 없죠. 덜 헤매길 바랍시다.] <br /> <br />최악의 청년 실업과 부동산 위기 속에 내수도 침체해 디플레이션의 그림자가 어른거립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주도하는 공급망 분리 압박 탓에 수출도 예전만 못하고, 해외 자본 이탈 현상도 뚜렷합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집권 3기 주요 정책 노선을 결정하는 '3중전회'도 이례적으로 해를 넘겼는데, 그만큼 새해 경제도 녹록지 않을 거란 신호로 읽힙니다. <br /> <br />시 주석도 신년사에서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시진핑 / 중국 국가주석 : 일부 기업은 경영 압력에 직면해 있고, 일부 대중은 취업과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…] <br /> <br />[엥커] <br />한중 관계는 물론 세계 정세와 글로벌 경제에 큰 변수 가운데 하나가 바로 미중 간의 전략 경쟁이죠. 베이징에선 어떻게 보고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10100333626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