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TN이 올해 산업계 전망을 분야별로 짚어보는 다섯 번째 시간, 오늘은 우리 경제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'이차전지'입니다. <br /> <br />새해 이차전지 산업은 그동안의 빠른 성장세가 다소 주춤한 가운데 내실 다지기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몇 년 사이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누적 수주잔액 규모만 천 조원에 달할 정도로 고성장을 이어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올해는 지금까지의 빠른 성장세가 다소 주춤할 거란 전망이 지배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차전지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전기차의 수요가 줄면서 성장세가 둔화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시장의 화두가 가격 경쟁력으로 넘어가며 배터리 역시 저가 제품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중심에는 중국 제조사들이 장악하고 있는 리튬인산철, LFP 배터리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업체들이 주로 생산하는 '삼원계 배터리'보다 주행거리가 떨어지지만, 최대 20% 정도 저렴한 가격을 강점으로 내세워 탑재 비중을 늘려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정규 / SNE 리서치 상무 : 현재 기준으로 봤을 때 LFP 배터리는 전 세계 배터리 사용량 중에 약 40%를 차지를 하고 있는 매우 큰, 가장 큰 배터리 케미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흐름에 발맞춰 국내 업체도 LFP 배터리 생산확대를 검토하는 등 중저가 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이차전지 업계의 또 다른 변수는 11월에 치러질 미국 대선입니다. <br /> <br />재선 도전에 나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,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미국의 친환경 정책에도 혼선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연원호 / 대외정책경제연구원 경제안보팀장 : 트럼프의 방향성 자체는 // IRA에서 주는 이런 친환경 보조금 같은 것들도 이제 후퇴하고 이런 거는 그 방향성은 맞는데 그걸 이제 어느 정도까지 실제로 할 수 있을지….] <br /> <br />하지만 전동화의 흐름 속에 이차전지 수요는 잠시 주춤해도 꾸준히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데는 이견이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그동안 생산능력 확대에 사활을 걸었던 국내 제조사들은 올 한해 기술력 확보 등 내실 다지기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김희정 <br /> <br />그래픽;박유동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민 (tm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10101143724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