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해를 맞아 시장도 일찍부터 문을 열었는데요. <br /> <br />상인들은 새해 기대감과 함께 계속되는 고물가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유서현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제기동에 있는 청량리 청과물 시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현장 상황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른 시간이지만 이곳 상인들은 하나둘씩 영업 준비를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은 좀 한산한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상인들은 다음 달이면 설 명절도 찾아오는 만큼, 전통시장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인호 / 청량리 청과물시장 상인회장 : 우리 장사가 침체 돼서 우리 상인들 너무 힘들고 어렵습니다. 근데 또 2024년도에는 새해에는 힘을 내서 참 어려운 걸 잘 극복하고 참 다들 건강하게 사업 잘했으면 좋겠고….] <br /> <br />다만, 새해에도 높은 물가 걱정은 여전한데요. <br /> <br />이곳 과일 가게에서 파는 사과 한 상자 가격은 6~7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두 달 사이 1.5배가 넘게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겨울철에 많이 찾는 귤 가격도 5kg에 지금은 2만 원이 넘는 가격에 팔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사과와 배 소매가격은 각각 1년 전과 비교해 34.0%, 32.6% 높습니다. <br /> <br />과일뿐만 아니라 채소 가격도 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지난달 29일 기준 대파 1kg 평균 소매가격은 5,235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3.8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농림축산식품부는 봄철 이상저온, 여름철 폭염에 더해 12월 중순에 때 이른 한파가 찾아오는 등 각종 기상 재해가 출하량에 영향을 끼쳐 가격도 올랐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상승률은 통계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농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의 경우, 1년 전보다 2.5%, 농산물 물가지수의 경우, 6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농식품부는 물가 가중치가 높은 소고기와 돼지고기 공급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 차이가 난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물가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가격 동향을 매일 점검하고 할인 지원 확대 등 대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 청량리 청과물 시장에서 YTN 유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유서현 (ryus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10206533307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