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복되는 정치인 피습 사건에 100일도 채 남지 않은 총선을 앞두고 안전 대책 '경고등'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유세 현장에 대한 실효성 있는 경호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박광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피습 당시 이재명 대표는 취재진과 당직자, 지지자 등 인파에 둘러싸여 차량으로 발걸음을 옮기던 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 수십 명이 현장을 지켰지만, 사건을 막진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'요인 경호'가 주 임무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손제한 / 부산지방경찰청 수사부장 : 우발 상황 및 인파 교통 관리 등을 위해 경찰관 41명을 배치하여 대비하고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공식 선거운동 기간에는 대선 후보나 정당 대표 등 주요 인사를 보호하는 '전담 경호팀'이 가동됩니다. <br /> <br />경찰관 등의 밀착 경호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건데, 평상시에는 그만큼 한계가 드러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자칫 '과잉 경호' 논란이 지지자와의 소통을 원하는 정치인에겐 부담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공식 선거운동 기간 전에 발생한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도 이런 '사각지대'에 있었단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환목 / 신안산대 경호경찰행정학과 교수 : 유권자와 만나는 걸 경호나 경찰에서 막거나 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인도 싫어하고 유권자도 싫어해요. 명확한 설정을 하고 들어가야 해요. 일반 대중과 만날 수 있는 안전거리를 50cm로 한다, 70cm로 한다….] <br /> <br />그런데 문제는 본격적인 선거전에 돌입한 뒤에도 정치인 '피습 사건'이 잊을 만하면 반복됐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6년 지방선거 유세 도중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의 커터칼 피습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오른쪽 뺨에 10cm 넘는 상처를 입고 봉합 수술까지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최근 대선을 앞두고는 송영길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둔기에 머리를 가격당하면서 '붕대 유세'에 나서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공식 선거운동 기간 전이라도 '주요 인사 전담 보호팀'을 구성하는 등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치인 개인의 안전은 물론,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테러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광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이성모 한상원 <br />영상편집;연진영 <br />그래픽;박유동 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광렬 (parkkr082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0223381897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