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거가 있는 짝수해에 유난히 대형산불 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일종의 징크스인데요, <br /> <br />이 때문에 산림청은 '산불 예방 활동'으로 새해 업무를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가 겹쳤던 2022년 <br /> <br />경북 울진에서 발생한 산불이 삼척까지 확산하며 대형산불로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 면적만 1만6,302ha, 서울 면적의 27%가 잿더미로 변해 지난 2000년 동해안 산불에 이어 역대 2위 피해 산불로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거가 있는 짝수해의 악몽이 되풀이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런 징크스는 1996년부터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15대 총선이 있었는데, 강원 고성에서 대형산불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2000년, 2002년, 2004년, 2018년, 2020년까지 상황이 반복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만주 / 산림청 산불방지과장 : 지자체의 산불 감시 인력이 선거 업무에 투입되면서 예방 활동이 느슨해진 점, 그리고 그 시점에 건조한 날씨 조건이 겹치면서 대형산불이 잇따른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2024년 올해,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산림청이 바짝 긴장하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을 반영해 시무식도 현장에서 산불 예방활동으로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촌과 농가를 직접 찾아가 폐기물을 파쇄해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남성현 / 산림청장 : 최근 10년 동안 농가 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전체 산불의 1/3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이렇게 폐기물을 직접 파쇄해 처리해주면 그만큼 산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셈입니다.] <br /> <br />산림청은 첨단 CCTV와 드론 등을 활용한 산불 감시 활동을 늘려 인력이 부족해 생기는 상황을 대비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전주영 <br />그래픽 : 유영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10323252779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