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<p>[앵커]<br>최근 서울 명동과 서울역 사이가 ‘지옥의 퇴근길’이 됐습니다.<br> <br>서울시가 정류장의 혼잡을 해소겠다며, 버스 표지판 앞 줄서기를 해 정체가 심각해진 겁니다.<br> <br>결국 9일 만에 정책을 철회했습니다.<br> <br>취재기자 연결해 현장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송진섭 기자, 결국 원점으로 돌아간 건데, 현장은 어떻습니까.<br> <br>[기자]<br>저는 명동 입구 광역 버스 정류장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인도에 세워진 줄서기 버스 표지판은 일부만 적혀 있고 대부분은 흰색 백지로 뒤집혀 있습니다. <br> <br>오후 3시 넘어 서울시가 줄서기 철회를 결정했고 부랴부랴 29개 노선 중 17개 번호판을 떼기 시작한 겁니다. <br> <br>정류장 혼잡을 줄이겠다며 줄서기를 시행한지 9일 만입니다. <br><br>하지만 퇴근 3~4시간 전에 갑자기 이뤄진 조치에 시민들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. <br> <br>[정문희 / 경기 화성시] <br>"(서울시가 오늘 취소하겠다고 했거든요. 알고 계셨나요?)아뇨 모르는데요. 아예 몰라요." <br> <br>[질문2] 송 기자, 그럼 뭐가 문제였던 겁니까.<br> <br>[기자] <br>애초 좋은 의도로 시행했지만 병목 현상에 따른 교통 체증 부작용이 너무 심각했습니다. <br> <br>먼저 어제저녁 영상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> <br>버스 번호 앞으로 사람들이 길게 줄서 있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버스가 표지판 앞에 정확히 서고 사람들이 타는데 명동 정류장 설 수 있는 버스는 많아야 2대 정도입니다. <br> <br>앞에 버스가 출발하기만을 기다리는 버스가 뒤로 길게 늘어서 있는데 이게 한국은행, 숭례문을 지나 서울역까지 이어져 있습니다. <br> <br>이렇게 1.7km 가량 버스 행렬이 이어지며 두 정거장 가는데 한 시간씩 걸리는 겁니다.<br> <br>[변송희 / 경기 수원시] <br>"제가 저번 화요일날에 한 1시간 반 정도 기다려서 탔거든요."<br> <br>[심상연 / 서울 종로구] <br>"차라리 여기 번호판 붙었을 때보다 바닥에 있을 때가 훨씬 나았던 것 같아요."<br> <br>일단 서울시는 이달 말까지 줄서기를 철회하고 그 사이 대책을 마련키로 했습니다. <br> <br>우선 수원과 용인으로 가는 광역버스 노선은 정류장을 청계천 광교 옆으로 옮기고 종각, 탑골공원으로 크게 우회시킬 계획입니다. <br> <br>이 경우 명동 탑승객 수는 9500명에서 6400명으로 30%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졸속 탁상행정이었단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명동 퇴근길 현장에서 채널A 뉴스 송진섭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윤재영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이태희</p><br /><br /><br />송진섭 기자 husba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