증차만이 해답?…소요 시간 줄일 인프라 구축 절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와 지자체는 수도권 광역버스 대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스 숫자를 늘리는데 중심을 뒀습니다.<br /><br />증차에만 신경을 쓰다보니 오히려 불편이 커지는 일도 발생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추가적인 해법은 없는지, 이번엔 나경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입석금지 조치 이후 본격적인 광역버스 증차가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 "예전에 비해 사람도 줄어들고 좌석도 입석 금지돼서 안전하게 갈 수 있는 것 같아요."<br /><br />수원, 고양, 용인 등 경기도 전역에 하루 50회 증차가 이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부작용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서울 도심의 한 광역버스 정류장입니다.<br /><br />버스를 타려는 승객들로 인도가 가득 찼고, 길을 지나기도 어려울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오후 7시를 넘긴 퇴근 시간대입니다.<br /><br />서울 을지로입구역 근처인데요.<br /><br />보시는 것처럼 광역버스들이 끝없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.<br /><br />버스들이 엉키더니 급기야 접촉사고까지 납니다.<br /><br />광역버스 대란은 결국 시내버스까지 여파가 미칩니다.<br /><br /> "서울시에 들어오는 차들이 광역 차가 어마어마하게 많아졌습니다. 시민들이 세 정거장 가기를 1시간 20분, 40분 걸립니다."<br /><br />승객들도 불편하긴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 "저 표지판에는 1분 후면 들어온다는데 아직 안 들어오고 있어요 지금. 한참 기다렸는데."<br /><br />최근 서울시가 설치한 노선 표시 안내판도 교통제증의 요인으로 꼽혔습니다.<br /><br />지정된 자리에서만 승하차가 가능해 정류장에 버스가 한 대밖에 못 들어오면서 뒤에 있는 버스들이 줄줄이 밀릴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시민 불편에 서울시가 표지판 운영 유예와 일부 광역버스 정류장 분산 등의 개선책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노선 표시 안내판 문제 역시 대안없는 광역버스 증차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결국엔 증차 못지 않게 버스가 빨리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버스 운행의 정시성 확보의 가장 핵심인 버스 전용차로를 과감하게 확대해야 된다…버스의 순환 속도가 빨라져서 동일한 버스를 갖고도 엄청난 증차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겁니다."<br /><br />다만 대중교통 중심의 정책이 가능하려면 승용차 운전자들의 이해가 선결 요건입니다.<br /><br />효율적인 버스 운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설득이 없다면, '지옥 같은 출퇴근길',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 (intense@yna.co.kr)<br /><br />#광역버스 #증차 #혼잡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