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는 4월 총선을 앞둔 우리나라를 포함해 올해는 유독 세계 곳곳에서 굵직한 선거들이 연달아 치러집니다. <br /> <br />이들 선거 결과와 그 여파에 따라 각국의 경제와 무역 정책이 달라지는, 이른바 '폴리코노미'의 해가 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24년, 전 세계 75개국에서 선거가 치러집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 넘는 40억 명 이상이 투표소로 향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달, 양안 갈등의 기폭제가 될 수 있는 타이완 총통 선거를 시작으로, <br /> <br />오는 3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, 4월 우리나라와 인도 총선, 6월에는 유럽의회 선거가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미국 대선 경선도 이번 달부터 불붙습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과 민주당이 차례로 경선에 들어가 7~8월에 후보를 확정 짓고 11월에 대선을 치릅니다. <br /> <br />바야흐로 선거의 해. <br /> <br />정치가 경제를 휘두르는, 이른바 '폴리코노미'가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학교 금융경제학부 교수 : 정권이 바뀜에 따라서 패권 경쟁에 대한 우려, 지정학적 리스크 같은 것들이 바뀌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경제로 연결되어 불확실성을 키운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우리 정부와 여당은 이미 지난해 공매도 전면 금지와 대주주 양도소득세 완화 등 개미 투자자 표심을 노린 시장 정책을 펼쳤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예산안을 처리하면서 앞서 잼버리 파행으로 삭감된 새만금 예산과 '이재명표 예산'으로 불리는 지역화폐 예산을 3천억 원씩 증액한 것도 예외가 아닙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는 올 한해 나라 밖 선거 판세에도 적잖은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연원호 /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경제안보팀장 : 미국의 대선 같은 경우는 표를 더 확보하기 위해서 민주당, 공화당이 중국 때리기를 더 활용하게 될 경우에는 우리 경제 같은 경우에는 중국과의 경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이 같은 대외 변수는 정부 정책으로 통제할 수 없는 만큼, 지금은 수출 다변화를 통해 기민한 사후 대응력을 키워둬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나연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박정란 <br />그래픽 : 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나연수 (ysn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10623215476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