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국방장관의 '깜깜이 입원'…바이든, 사흘간 몰랐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국방장관이 입원으로 자리를 비웠던 상황을 군 통수권자인 바이든 대통령이 며칠간이나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돼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그의 역할을 대행한 국방부 부장관은 푸에르토리코에서 휴가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스틴 미 국방장관의 '깜깜이 입원'을 둘러싼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스틴 장관은 현지시간 지난 1일부터 수술 합병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기 시작했는데, 미 국방부는 이런 사실을 사흘이 지나서야 백악관에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오스틴 장관의 입원 2일 차인 지난 2일부터 장관 임무 중 일부를 대행해온 힉스 부장관 역시 장관의 입원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더구나 푸에르토리코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던 힉스 부장관은 '장관이 5일 복귀한다'는 말에도 즉각적으로 업무에 복귀하지 않았다고 AP 통신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안보 위기가 부쩍 높아진 상황에서 발생한 이번 국방부 수뇌부의 '공백' 상황을 두고 미국 내에서는 거센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 상원의 로저 위커 의원(미 상원 군사위 공화당 간사)은 "이번 사건이 바이든 행정부에 대한 신뢰를 약화한다며 "완전하고 즉각적인 설명"을 요구했고<br /><br />미 국방부 출입기자단도 중동에서 미군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일이 발생했다며 항의 서한을 통해 분노를 표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사태는 2022년 일주일 전에 미리 입원 예정 사실과 업무 복귀 시점 등을 공개했던 메릭 갈런드 법무장관 사례와 비교되며 더욱 구설에 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대선 가상대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열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는 가운데, 이번 사안이 바이든 대통령의 선거 캠페인에 악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준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