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의 포격이 연일 이어지는 가운데 접경 지역 주민들은 긴장 속에서도 담담히 일상을 견디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으로는 혹시나 13년 전 포격전 같은 불상사가 벌어지진 아닐까,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 현장에서 박정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나다니는 사람도 차량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한산한 거리. <br /> <br />식당가와 각종 편의시설이 몰려 있는 연평도 시내입니다. <br /> <br />평소 통행이 잦은 곳이지만, 사흘째 북한의 포격 도발이 이어지며 발길이 눈에 띄게 뚝 끊겼습니다. <br /> <br />되도록 외출을 자제하고 있지만 주민들은 비교적 차분하게 일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황삼주 / 연평도 남부리 주민 : 당황하고 그런 분위기는 아니고, 우리는 늘 면역이 돼서 그렇고, 육지에서 온 사람들은 뭐가 뭔지를 모르니까 아이들 (업고) 뛰고 난리 치고….] <br /> <br />하지만 언제 대피해야 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함을 숨기지는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일 한때 여객선 운항이 멈췄을 땐 이대로 섬에 고립되는 건 아닌지 걱정돼 선착장 근처로 달려갔다는 주민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황일원 / 연평도 동부리 주민 : 배 없으면 못 나가잖아요. 사람들이 선착장으로 가자고 하고 막 그랬어요. 만약에 자꾸 이런 일이 생기면 육지로 나가야죠. 불안해서 못 있죠.] <br /> <br />해안가에 서린 긴장감도 가시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연일 포사격을 했던 북방한계선, NLL 해상입니다. <br /> <br />건너편 북측 진지에는 연평도를 향한 해안포 포문 십여 개가 여전히 닫히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초부터 긴장 상황이 좀체 해소되지 않으며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전과 같은 악몽이 반복되는 건 아닌지, 주민들은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 모 씨 / 연평도 중부리 주민 : 경험한 사람들도 있겠고 경험 못 한 사람들은 더 놀랐을 거고. 우리는 옛날 생각 나서. 옛날 그때 상황들도 대피소에 앉아서 얘기하면서 그때같이 하면 어떡하나….] <br /> <br />YTN 박정현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: 김광현 <br />영상편집: 김민경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정현 (miaint312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10820322028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