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퇴근길에 혼잡한 지하철을 타면 숨이 턱 막힐 정도로 답답하고 불편한 느낌 많이 받아보셨을 겁니다. <br /> <br />이를 개선하기 위해 의자를 없앤 열차 구간이 시범 도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시민들은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, 권준수 기자가 현장을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침 8시를 조금 넘은 시간, 서울 지하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입니다. <br /> <br />출근길 승객 혼잡도가 무려 190% 수준인 곳으로, 정원보다 2배 많은 사람이 지하철에 몸을 싣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"열차 출발합니다. 다음 열차 이용하시길 바랍니다. 후속 열차 뒤따라오고 있습니다. 출입문 닫습니다." <br /> <br />이런 혼잡도를 줄이려는 차원에서 의자 없는 지하철이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4호선 열차 한 칸에 42명이 앉을 수 있는 의자를 덜어내고 모두 서서 가도록 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열차 한 칸에 의자를 없애 확보된 공간은 12.6㎡, 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만큼 혼잡도가 줄어든다는 계산입니다. <br /> <br />보시는 것처럼 이 열차 칸에는 의자가 없는 대신에 더 많은 손잡이를 설치해놨습니다. 그리고 노약자를 위한 의자는 그대로 놓아두었습니다. <br /> <br />의자 없는 지하철에 탄 승객들은 어떻게 느낄까. <br /> <br />일단, 다른 칸에 비해 혼잡도가 줄어 다소나마 숨통이 트인단 반응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박정현 / 서울시 미아동 : 답답함이 덜하고 혼잡도가 덜하니까 좋은 것 같습니다. 의자가 없다 보면 급정거하거나 이랬을 때 같이 쏠리거나 하면 다칠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, 그런 거는 차차 개선해나가면 좋지 않을까.] <br /> <br />반면, 앉지 못하는 불편함을 호소하거나 혼잡도가 나아진 건지 모르겠단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현광 / 서울시 쌍문동 : 저는 개인적으로 좀 불편하고요. 여기는 조금 괜찮을지 몰라도 사람들이 이 칸을 피하는 것 같아요. 저쪽이 (사람이) 너무 많아서 어쩔 수 없이 다시 여기 서 있게 됐는데, 저 같은 경우는 긴 거리를 가다 보니까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혼잡도를 낮추는 건 좋지만, 대중교통이 갖는 의미를 되짚어봐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[김응록 / 송원대 철도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: 예상대로 혼잡도는 조금 완화될 수 있겠죠. 그러면 서서 가는 사람들이 그게 오히려 평온 편안하게 이용하게 하는 건가요. 불편을 오히려 주는 거죠.] <br /> <br />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시범 사업을 통해 혼잡도가 나아지는지 지켜보고, 의자 없는 지하철 칸을 확대할지 검토할 계획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준수 (kjs81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11114592821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