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北, 2018년 11월 20일 시범철수 GP 10개 폭파" <br />남북, 2018년 12월 12일 GP 완전 파괴 상호 검증 <br />2018년 당시에도 GP 5곳 부실 검증 여부 논란<br /><br /> <br />지난 2018년 9·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철거했다던 비무장지대 내 북한 최전방 감시초소, GP의 지하시설이 완전하게 파괴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판단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신원식 장관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직접 밝힌 내용인데요, 완전한 파괴를 검증했다던 당시 국방부와 군의 판단을 놓고 논란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8년 11월 20일. <br /> <br />북한이 비무장지대 내 최전방 감시초소, GP를 폭파하는 장면을 우리 군이 촬영해 공개한 영상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국방부는 북측이 군사합의에 따라 GP 10곳을 같은 날 동시에 모두 폭파했다며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군도 GP 폭파와 철거 장면을 공개하며 약속을 이행했음을 알렸습니다. <br /> <br />한 달 가까이 지난 12월 12일 남북은 각각 1개 초소당 7명씩 투입돼 상호 검증 작업에 나섰고, <br /> <br />[남측 검증단 / 2018년 12월 12일 : 오늘 올 때 길을 깨끗이 정리해 놓은 걸 보니깐 우리 북측에서 굉장히 준비를 많이 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.] <br /> <br />[북측 검증단 / 2018년 12월 12일 : (지하부에 대해서 확인된 것을 확인할 수는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?) 여기서 좋도록 하십시오. 곡괭이로 두드리려면 두드리고.] <br /> <br />이후 북한 GP는 완전히 파괴됐으며 불능화됐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욱 / 당시 합참 작전본부장 : 지하시설은 출입구 부분과 감시소, 총안구 연결 부위가 폭파되거나 매몰 돼 있음을 확인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당시 북한 GP의 지하시설이 완전하게 파괴되지 않았다는 판단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은 위에 보이는 감시소만 파괴하고 내부 지하는 전혀 손을 안 댄 것 같다고 밝힌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파괴했다면 다시 공사해야 하는데 공사 징후는 없다며 지하시설은 수리하면 바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측 검증반의 검증이 거짓이었느냐의 질문에는 즉답을 하기 어렵다면서도 당시 북한 GP가 많이 손상되지 않은 것 같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 : 북한의 GP 복원과 관련된 정황을 저희가 예의주시하고 있고 그런 관측 또는 예의주시한 결과를 토대로 어제 (장관께서) 인터뷰 내용에서 말씀하신 겁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문경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1117172539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