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동훈식 '여의도 문법'?...'용산 사투리' 극복 과제 / YTN

2024-01-12 289 Dailymotion

한동훈, 시도당 신년인사회 순회…"팔도 사랑" <br />文 정부 시절 ’좌천’ 지역도 연고로 거론 <br />한동훈, 장관 시절 "여의도 사투리 안 쓸 것" <br />당 안팎 "정치인 언어 빠르게 흡수" 평가 <br />광주서 ’5·18 정신’, 부산서 ’1992 티셔츠’ 주목<br /><br /> <br />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최근 행보와 발언을 놓고, 기존 정치인들의 언어를 빠르게 학습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과거 '여의도 사투리'는 쓰지 않겠다고 했던 한 위원장인데, 과연 그럴까요? <br /> <br />이종원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국 시도당 신년인사회를 이어가는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연초 행보는 한 마디로 '팔도 사랑'으로 요약됩니다.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지난 4일) : (저는) 이곳 청주 수동성당에서 성안나 유치원을 다녔고….]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지난 8일) : 저희 아버지는 춘천 소양로에서 사시면서 춘고를 다니셨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정부 검사 시절 '좌천의 기억'까지 지역 연고로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지난 4일) : 지난 정권 때 한 4번 정도 좌천당했는데요. 그 3번째가 바로 이곳 충북의 진천이었습니다.]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지난 10일) : 단도직입적으로 제가 말하죠. 저는 부산을 너무나 사랑합니다.] <br /> <br />선거철 정치권에서 흔히 듣던 화법이긴 한데, 한 위원장에게 유독 더 관심이 쏠리는 건, 장관 시절 내놓은 이 발언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지난해 11월) : 그건 여의도 문법이라기보다는 여의도 사투리 아닌가요. 저는 나머지 5천만이 쓰는 언어를 쓰겠습니다.] <br /> <br />국무위원에서 집권여당 사령탑으로 직행한 지 이제 갓 보름을 넘긴 시점. <br /> <br />지금까진 여의도 사투리든, 표준어든, 정치인의 언어를 빠르게 흡수했다는 게 당 안팎의 대체적인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할 구설도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광주에선 5·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을, 부산에선 프로야구 우승 기원을, 지역 정서에 눈높이를 맞추는 유연함까지 보여줬습니다. <br /> <br />[홍문표 / 국민의힘 의원(어제 BBS 라디오) : 경험이 없으신 분인데 염려하는 분이 많았거든요. 그런데 의외로 순발력이 있고, 그리고 신선하고….]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 '한동훈식 여의도 문법'의 지향점이 어디이고, 어디쯤 왔는지를 가늠하긴 쉽지 않다는 시선도 존재합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김건희 여사 특검법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종원 (jongw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1304564829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