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식량난 극복했다던 北..."문제는 불평등한 배급" / YTN

2024-01-13 339 Dailymotion

지난해 식량난 해소에 사활을 걸었던 북한은 "흐뭇한 작황이 펼쳐졌다"며 대대적으로 선전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실제론 불평등한 배급 문제 등으로 만성적 식량 부족 상황은 여전하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극심한 식량난 우려와는 달리 지난해 9월 러시아의 식량 지원 제안을 거절했던 북한. <br /> <br />이후 북한 매체를 통해 연일 '풍작' 선전에 나서더니 지난해 말 당 전원회의에선 식량난을 극복했다고 공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(지난 1일) : 보고에서는 인민 경제 전반에서 이룩된 괄목할 만한 성과들이 개괄됐습니다. 알곡(식량)은 103%, 전력, 석탄, 질소 비료는 100%….] <br /> <br />일단 북한 당국의 발표대로 지난해 북한의 식량 생산량이 늘어난 건 맞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농촌진흥청도 북한의 지난해 곡물 생산량은 지난 2022년의 451만 톤보다 늘어난 482만 톤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 주민 대부분은 여전히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다는 통일연구원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공식적으로 배급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에서 평양과 같은 특정 지역이나 특정 직업군에 편향된 불평등한 형태로 배급이 이뤄지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우태 /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: 북한의 식량 배급은 평양 등 특정 지역이나 아니면 권력기관 종사자 등 특정 직업군에 차등적, 차별적으로 이뤄지고 있고요. 북한의 일반 주민은 국가나 기업소의 식량 배급을 기대할 수 없을 상황일 정도로 식량 배급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….] <br /> <br />이에 더해 식량 분배 과정에서의 고질적인 생산량 허위보고와 착복도 여전한 상황. <br /> <br />식량 생산량에 대한 허위보고를 단속하려고 이른바 '허풍방지법'까지 만들었지만, 오랜 기간 만연한 허위보고를 차단하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더해 김정은 정권의 식량 증산 정책도 간부들의 만연한 부패 등으로 사실상 실패했다는 게 통일연구원의 판단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북한의 식량 사정이 숨통이 트일지도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통일연구원은 지난해 식량 생산이 증가한 건 자연재해가 예년보다 덜했기 때문으로 평가하면서 올해 자연재해 여부에 따라 식량난 가능성은 여전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1405045367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