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오늘 오후 동해 상으로 중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습발사가 가능한 고체연료 기반의 신형 미사일 가능성이 커서 북한의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이 막바지에 이른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휴일 오후 2시 55분쯤. <br /> <br />북한이 평양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쏜 중거리 탄도미사일 1발이 약 천km를 날아 동해 상에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새해 들어 처음인데, 고체연료 기반의 신형일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됩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지난해 11월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용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을 개발했다고 밝혔는데, <br /> <br />신원식 국방 장관도 최근 신형 중거리탄도미사일 발사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체연료 기반의 미사일은 연료를 주입하지 않아도 돼 발사 시간이 단축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아 기습발사가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고체연료 기반의 중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까지 성공했다면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화성-18형과 함께 중장거리 미사일 개발도 막바지에 이른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미국 본토를 겨냥하는 ICBM과는 달리 최대 사거리 5천km 안팎의 중거리탄도미사일은 유사시 유엔사 후방기지와 일본, 한반도 작전환경에 실질적인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성준 / 합참 공보실장(지난해 11월 16일) : 고체 추진 중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은 유사시 괌을 포함하여 유엔사 후방 기지, 주일 미군기지에 대한 타격, 미 증원 전력 및 유엔사 전력의 한반도 지원을 차단하기 위한 타격 능력 확보 조치로 판단하고 있고….] <br /> <br />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해 말 노동당 전원회의를 마무리하면서 1년 안에 국방력 강화 5개년 계획의 실천적 담보를 확보할 것을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이번 미사일 발사를 시작으로 국방력 강화를 위한 각종 도발을 이어갈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문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윤용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문경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1418500928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