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재고나 과학고 등 특목고를 지원하는 학생들이 매달 150만 원 이상 '고액'을 사교육에 지출하는 비율이 일반고보다 최대 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'사교육에 돈을 많이 써야 좋은 학교에 간다'는 얘기일까요?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신지원 기자! <br /> <br />영재고, 특목고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는 중학생들은 일반고 준비생보다 사교육비 지출이 얼마나 더 많은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재고나 과학고 등 특목고를 준비하는 중학생도, 특목고에 진학한 고등학생도 사교육비 지출이 일반고 준비생이나 재학생보다 최대 6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 시민단체 '사교육걱정없는세상'은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매달 사교육에 150만 원 이상 지출하는 학생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학교 3학년 중에는 과학고 준비생의 42.9%, 영재고 준비생의 25%가 매달 150만 원 이상 사교육비를 지출한다고 답해, 일반고 준비생보다 최대 6배 가까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밤 10시가 넘도록 심야 사교육을 받는 중학생도 과학고 57.1%, 영재학교 진학 희망자는 50%에 달해 20% 수준인 일반고 희망 학생에 비해 입시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특목고에 진학하기 위해 더 많은 돈과 시간을 들이는 건데, 진학 후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영재학교나 특목고에 이미 재학 중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일반고 1학년보다 사교육비에 고액을 지출하는 경우가 최대 6배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 결과, 고등학교 1학년의 경우 일반고에서 7.1% 수준이었지만, 영재학교에서는 6배가 넘는 43.8%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또 과학고는 38.5%, 자사고는 29%로 뒤를 이었고, 외고나 국제고 1학년 학생 가운데 고액 사교육을 받는다고 응답한 경우도 21.7%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고등학교 유형별 사교육비 격차가 큰 상황인데, 교육 현장 반응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장 교사들은 '고교 서열화' 문제를 심각하게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중등교사 천7백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, <br /> <br />전체의 65.7%는 영재학교·과학고를 정점으로 한'고교서열화'에 문제가 있다고 응답했고, <br /> <br />사교육비가 가계에 경제적 부담이 된다는 응답도 95%가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학생들이 사교육에 내몰리는 '고교서열화'를 방치 해서는 안 된다며, 교육부가 관련 대책을 내놓아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지원 (jiwon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11514075754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