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현재 세계에서 반도체 생산 1위 업체는 대만의 TSMC, 설계 1위는 미국의 엔비디아인데요.<br> <br>이들 기업을 넘어서기 위한 본격 시동이 걸렸습니다.<br> <br>정부가 622조 원을 투입해 세계 최대 규모의 '반도체 메가 클러스터'를 조성하고. 판교엔는 AI 반도체 연구개발 기지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안건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경기 용인시 남사읍입니다. <br> <br>삼성전자가 시스템 반도체 단지와 위탁생산 공장을 세울 부지로 정부가 구상한 '반도체 메가 클러스터' 중 한 곳입니다. <br><br>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여의도 7배인 2100만㎡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단지입니다. <br> <br>연구개발부터 설계·생산을 아우르는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민간기업이 2047년까지 총 622조 원을 투자합니다.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 파격적인 세액 공제 등 대대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[반도체 산업 민생토론회] <br>"국가의 모든 인적·물적·전략 자산을 총투입해서 치열한 속도전을 펴야된다." <br> <br>새롭게 들어설 반도체 생산 공장은 16개로 이르면 2030년 반도체 회로가 그려질 기판, 웨이퍼를 세계 최대 규모인 월 770만 장 생산하는 게 목표입니다. <br> <br>세계 1위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속도전입니다. <br> <br>반도체 설계 부문 세계 1위, 엔비디아와 경쟁할 AI 반도체 거점은 판교에 조성합니다. <br> <br>'한국의 실리콘 밸리'로 불리는 판교를 연구·개발 중심지로 조성해 2030년까지 글로벌 매출 상위 50위 설계업체를 10곳까지 육성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[이종호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] <br>"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쪽에서는 세계 1위도 할 수 있지 않을까,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." <br> <br>또 현재 30% 수준인 반도체 소재와 부품·장비 자립률을 2030년까지 50%로 끌어올려 외풍에 흔들리지 않는 반도체 공급망도 구축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승호 최혁철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