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현재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러시아를 방문 중입니다.<br> <br>러시아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북한 방문을 희망한다고 밝힌 걸로 전해졌습니다.<br> <br>북한과 러시아가 이렇게 밀착하는 가운데, 북한은 어제 초음속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는데요.<br> <br>한미가 요격하기는 한층 어려워졌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북한이 어제 발사한 미사일의 정체에 대해 극초음속 탄두부를 장착한 고체연료 기반의 중거리탄도미사일, IRBM이라고 공개했습니다. <br><br> 북한은 "새로 개발된 다계단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들의 믿음성 확증이 목적"이라며 "발사는 성공적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[이성준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] <br>"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명백한 도발행위로 강력히 규탄합니다." <br> <br> 북한의 신형 고체연료 IRBM 발사는 지난해 11월 첫 발사 실패 후 2달 만입니다. <br> <br> 고체연료는 액체연료와 달리 연료 주입 시간이 필요 없어 곧바로 타격이 가능한 것이 위협적입니다. <br> <br> 특히 앞서 북한이 대남 전술핵 공격용 단거리탄도미사일 SRBM과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등에 고체 연료 발사 성공 사실을 알렸는데, 이를 모두 활용해 한미를 기습적으로 공격 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. <br><br> 여기에 극초음속 탄두부까지 장착해 우리 요격이 한층 더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초속 1.7㎞인 마하 5 이상으로 재빨리 비행하며 변칙 기동을 하기 때문입니다.<br> <br>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을 쏜 것은 2022년 1월 '화성-8형' 발사 이후 2년 만입니다. <br> <br>[양욱 /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] <br>"한미 확장억제에 대한 북한의 대응이자 견제로 볼 수 있습니다. (국제사회 비난에도 계속적으로 불법적인 행위를 하겠다는 반발(입니다.)" <br> <br> 북한은 이번 미사일의 정확한 제원을 공개하지 않은 가운데 극초음속 미사일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한 추가 시험발사 가능성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