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파트나 빌라 같은 공동주택에서 불이 났을 때 무작정 밖으로 나가면 더 위험할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실험이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계단실 등을 타고 번지는 연기를 피하는 게 핵심인데, 평소 대피 공간과 경로를 파악해 두면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차상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층 세대 안에서 불이 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계단실은 연기에 가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3층과 4층 집안으로도 연기가 스며들었지만, 계단실보다는 확연히 적습니다. <br /> <br />이 상황에서는 밖으로 나가는 것보다는 연기가 없는 집 안 공간으로 대피해 신고하고, 구조를 기다리는 게 안전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집안에서 불이 나 대피할 때는 대문을 닫아야 다른 세대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나 빌라에서 사실상 유일한 피난 통로인 계단으로, 연기가 퍼지는 걸 막아야 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[제용기 / 부산소방재난본부 화재조사계장 : 가장 중요한 것은 연기의 흐름이겠죠. 연기가 자기 집으로 들어오는지 안 들어 오는지, 출입문을 열었을 때 연기나 열기가 있는지를 살펴야 하겠죠. 가장 먼저 열기보다는 연기를 주의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공동주택 화재 때 불보다 더 위험할 수 있는 건 연기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사망자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5년 사이 아파트 화재 사망자는 180명. <br /> <br />연기흡입으로 숨진 사람이 127명으로, 전체 사망자의 70%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30대 아버지가 불길을 피해 아파트 4층에서 아이를 안고 뛰어내렸다가 숨져 주변을 안타깝게 했던 서울 도봉구 성탄절 화재. <br /> <br />같은 아파트에서 11층 주민도 목숨을 잃었는데 옥상으로 대피하려다 연기를 마셨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당국은 섣부른 대피를 하지 않도록 화재 상황을 가정해 대피할 장소와 경로를 미리 정해 기억해 두면, 실제 상황에서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차상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지대웅 <br /> <br />그래픽;오재영 <br /> <br />화면제공;부산소방재난본부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차상은 (chas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11820555574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