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년 우리나라의 웹툰 산업 매출액이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8,29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 성장세는 5년 연속 이어졌지만, 경쟁이 심해지면서 작가들의 평균 수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공개한 웹툰 실태조사 결과, 김정회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22년 웹툰 산업 매출액은 역대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1조 8천2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.8%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2018년 4천억 원대와 비교하면 4배가 넘는데 2020년 1조 원대를 돌파한 뒤 성장 속도는 둔화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작가 수입은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'1년 내내 연재한 경우'가 9천840만 원, '1년 이내 연재한 경험이 있는 경우'가 6천467만 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2천여만 원씩 적게 벌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유행기 이후 웹툰 이용 횟수는 감소했는데 오히려 산업 내 경쟁이 심해졌기 때문으로 추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어떻게 벌고 있는지를 봤더니 주 수입원은 선인세 개념으로 받는 돈이 가장 많았고 작품이 잘되는 만큼 더 받는 '수익 분배', 원고료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주일 내내,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씩 일하는 경우가 많아 업계의 고질적 문제로 꼽혔던 '작업 시간'은 다소 개선됐습니다. <br /> <br />인공지능, AI에 대한 활용 의사도 처음 물었는데 사업체나 작가 모두 아직은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웹툰은 우리나라에서 탄생해 전 세계로 확산하는 문화산업 분야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케이팝, 게임에 이어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인데 종주국의 위상을 굳히려면 현재 추진 중인 법안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헌식 / 문화평론가 : 웹툰을 문화 산업적으로 진흥하려면 저작권법을 엄격히 적용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은 있습니다. 초반에 회차 무료공개제도를 금지하다 보면 신인 작가 같은 홍보와 세일즈가 필요한 작품이나 작가, 플랫폼 업체 입장에서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영화나 드라마, 게임 등 웹툰을 활용한 2차 가공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관련 현황도 함께 조사해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신수정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정회 (jungh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4012004422305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