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이 1월의 절반을 훌쩍 넘기고도 신년 기자회견을 할지,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소통할지를 두고 고심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건희 여사 관련 질문 때문이라는 게 중론인데, 대통령실은 특정 방송사와 단독 인터뷰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입니다. <br /> <br />권남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집권 3년 차를 맞았지만, 윤석열 대통령의 정식 기자회견은 취임 100일 때, 단 한 번이 전부입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 (취임 100일 기자회견, 2022년 8월) : 질문받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씀드렸습니다. 앞으로도 자주 여러분 앞에 서겠습니다.] <br /> <br />언론과 자주 소통하겠다는 약속은 다짐에 그쳤고, 이에 대통령실은 올해 신년 기자회견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. <br /> <br />한다, 안 한다, 모르겠다는 답변이 반복되면서 1월도 벌써 절반을 넘긴 상황. <br /> <br />윤 대통령과 참모들이 난상토론까지 벌이며 고심을 이어가는 이유는 김건희 여사 관련 질문 때문이라는 게 대통령실 안팎의 중론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기자들이 묻고 대통령이 답하는 전통적인 형태의 기자회견은 사실상 무산된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한때 윤 대통령이 김치찌개를 끓이고 기자들과 점심을 함께하며 자연스레 대화를 나누는 형식도 검토됐지만, 이 역시 뒷순위로 밀렸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 (신년사 뒤 기자실 방문, 지난 1일) : 올해는 하여튼 김치찌개도 좀 빨리 같이 먹고, 올해는 좀 가끔 여러분하고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대신 지난해 신년 회견을 대체했던 조선일보 인터뷰와 같이 윤 대통령이 특정 방송사와 단독 인터뷰를 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대상 언론사로는 KBS와 KTV가 꼽힙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소통의 방식으로 수준이 되는 언론과 대화하고 싶다며 특정 언론사 단독 인터뷰 검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이럴 경우 맞춤형 질의 응답만 했다는 비판 속에 '불통' 논란만 불거질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년 분위기를 내려면 늦어도 다음 달 설 연휴 전까진 매듭을 지어야 하는 만큼 윤 대통령이 언제, 어떤 선택을 할지에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YTN 권남기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김태운 곽영주 <br />영상편집 : 윤용준 <br />그래픽 : 오재영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12105421577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